“몸이 기억한다는 말은 사실이었다”…우리 몸의 놀라운 능력

2024-11-10 17:05

add remove print link

비뇌세포의 기억유전자도 뇌세포와 마찬가지로 반응하는 모습 보여

흔히 말하는 '몸이 기억한다'는 표현이 일리가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이미지.  / Sebastian Kaulitzki-shutterstock.com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이미지. / Sebastian Kaulitzki-shutterstock.com

지난 8일(현지시각) 미국 뉴욕대학교 니콜라이 쿠쿠슈킨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은 학습과 기억이 뇌와 뇌세포에만 국한되지 않는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진은 실험실에서 뇌세포가 아닌 두 가지 유형의 인간세포를 서로 다른 패턴의 화학신호에 노출시켰다. 이를 통해 분산효과가 발생하도록 했다.

이들 세포는 기억을 형성하기 위해 연결을 재구성할 때 켜지는 기억 유전자가 켜져 있을 때와 꺼져 있을 때를 구별할 수 있게 관련 단백질이 빛을 발하도록 조작됐다.

그 결과, 뇌세포가 정보에서 패턴을 감지하면 기억 유전자가 발현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비뇌세포의 기억유전자도 빛을 발하는 현상이 관찰됐다. 특히 화학물질을 집중적으로 전달하는 것보다 일정한 간격을 두고 화학물질을 전달했을 때 기억 유전자가 더 강력하게, 더 오랫동안 빛을 발했다.

이번 연구는 '집중-분산 효과'를 기반으로 했다. 이는 시험을 앞두고 집중적으로 학습하는 것보다 휴지기간을 두고 반복적으로 학습할 때 정보를 더 잘 기억하는 현상을 설명하는 신경학적 용어다.

뇌세포는 신경전달물질에 노출됨으로써 새로운 기억을 형성한다. 서로 다른 신경전달물질에 번갈아 노출되면 분산효과가 발생한다.

쿠쿠슈킨 교수는 "집중-분산 효과가 실제로 작용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연구 결과"라고 밝혔다. 집중학습보다 간격학습이 기억력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시사한다는 설명이다. 이는 간격을 두고 반복 학습하는 능력이 뇌세포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모든 세포의 기본 속성일 수 있음을 보여준다.

그는 "이는 또한 미래에 우리 몸을 뇌처럼 대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며 "예를 들어 건강한 혈당 수준을 유지하기 위해 췌장이 과거 식사 패턴을 기억하는 것이나 암세포가 화학요법 패턴을 기억해 이를 회피하는 것을 떠올려 보라"고 설명했다.

home 윤장연 기자 yun1245@wikitree.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