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생태 위해 러시아서 들여온 반달가슴곰... 현재 57마리 행방불명

2024-10-17 16:26

add remove print link

현재 소재 파악 가능한 개체는 32마리

국내에서 진행 중인 반달가슴곰 복원 사업이 예상치 못한 문제에 직면했다.

반달가슴곰 복원 사업은 정부가 한반도 생태 축과 생물 다양성 보전을 위해 2004년 러시아에서 들여온 반달가슴곰 6마리를 지리산에 방생하면서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반달가슴곰 / Volodymyr Burdiak-shutterstock.com
반달가슴곰 / Volodymyr Burdiak-shutterstock.com

17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이용우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환경부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현재 지리산 등에서 서식하는 반달가슴곰 89마리 중 위치추적기로 관찰할 수 있는 개체는 32마리이며 나머지 57마리의 소재는 파악되지 않고 있다.

위치를 모르는 57마리 중 19마리는 위치추적기가 부착돼 있었으나 배터리 소진, 훼손, 또는 탈락 등의 이유로 현재 작동하지 않는 상태로 확인됐다. 이외 38마리는 야생에서 태어난 개체들로, 위치추적기를 부착한 적이 없는 곰들이다.

이처럼 위치를 추적할 수 없는 반달가슴곰들이 상당수에 달하면서 관리의 어려움과 함께 각종 문제가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 등에 따르면 2005년부터 올해까지 총 11마리의 반달가슴곰이 올무 등으로 인해 폐사했다. 같은 기간 반달가슴곰이 사람이나 재산에 피해를 준 사례는 588건이며 이에 따른 보상액은 지난해까지 10억 2800만 원에 달한다. 올해 발생한 피해액은 아직 집계되지 않았다.

위치추적기의 배터리 수명은 약 2년 정도로 짧고, 곰이 추적기를 뜯어내는 경우도 있어 주기적으로 교체가 필요하다. 하지만 이 과정을 위해서는 곰을 다시 포획해야 하는데, 이는 매우 어렵고 위험한 작업이다. 게다가 야생에서 태어나는 개체들이 점차 증가함에 따라 위치를 파악할 수 없는 곰들이 늘어나고 있다.

이와 같은 상황 속에서 반달가슴곰의 위치추적만으로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전문가들은 이제 위치추적보다는 곰의 서식밀도와 서식지를 관리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전환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학계에서는 지리산 내 적정 개체수를 56~78마리로 보고 있다. 일각에서는 이제 반달가슴곰이 너무 많다는 우려마저 나오고 있다.

home 방정훈 기자 bluemoon@wikitree.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