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자 10명 중 4명 "건강이 허락할 때까지 일하고파"

2024-09-05 17:41

add remove print link

정부는 계속 고용을 검토 중

고령 취업자 대부분은 '건강이 허락할 때까지' 근로 의역이 있는 걸로 나타났다.

5일 한국고용정보원이 발표한 ‘2022년 고령화연구패널(KLoSA) 기초분석보고서’에 따르면 50대 이상 취업자 패널에게 은퇴 계획을 물어본 결과, 38.8%가 “건강이 허락하는 한 은퇴하지 않겠다”고 답했다.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59세 이하는 31.8%인 반면, 60~64세 34.2%, 65~69세 41.2%, 70~74세 50.4%, 75~79세 44.2%, 80세 이상 53.3% 등 연령이 높아질수록 끝까지 일하겠다는 비중도 대체로 커졌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사진 / imtmphoto-Shutterstock.com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사진 / imtmphoto-Shutterstock.com

은퇴를 미리 계획하는 경우엔 평균 71.8세에 일을 그만두고자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법정 정년(60세)보다 12년 가까이 더 일하고 싶어 한다는 의미다.

특히 80세 이상 초고령 취업자의 경우 평균 86.8세까지 일하고 싶다고 답했다. 이는 소득 문제가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가구소득을 4분위로 나눴을 때 상위 25%에 속하는 4분위 응답자는 은퇴 계획 연령을 평균 69.7세로 답했지만, 하위 25%에 해당하는 1분위 응답자들은 평균 77.2세로 답했다. 생계를 위해 불가피하게 취업 시장에 남아있는 경우가 적지 않다는 것이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사진 /     imtmphoto-Shutterstock.com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사진 / imtmphoto-Shutterstock.com

취업자들이 실제로 은퇴하는 연령도 법정정년보다 높았다. 조사에 따르면 신규 은퇴자의 평균 은퇴연령은 68.1세로 나타났다. 정년을 지났더라도 재고용을 통해 계속고용을 이어가는 고령 취업자가 그만큼 많다는 의미다.

이번 연구를 진행한 김경희 고용정보원 부연구위원은 “한국은 다른 OECD 국가와 비교해 근로 상한 연령이 굉장히 높고, 은퇴 이후에도 근로 기간이 길다”며 “이중에서도 여가 목적이 아니라 정말 생계 목적으로 일해야만 하는 노인 비중이 많다는 점에서 사회 문제화되고 있다”고 밝혔다.

정부도 계속고용 방안을 고민하고 있다. 지난 5일 연금개혁 추진계획에서 정부는 현재 59세인 국민연금 의무가입기간 상한을 64세로 연장하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는데, 이와 함께 고령자 계속고용 여건 개선 등을 연계해 논의하겠다는 내용도 덧붙였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사진 / Stock for you-Shutterstock.com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사진 / Stock for you-Shutterstock.com

현재 대통령 직속 사회적 대화 기구인 경제사회노동위원회 산하 ‘인구구조 변화 대응 계속고용위원회’에서 이같은 내용이 논의되고 있다.

다만 노동계는 법정정년 연장을 주장하는 반면, 경영계는 연공서열 위주 임금 체계에 대한 개편이 먼저 이뤄져야 한다고 보고 있어 치열한 논의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정부와 기업, 노동계는 고령화 사회에 대응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모색 중이다. 정부는 고령자들의 계속고용을 지원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마련하고 있으며, 기업들은 고령자 고용을 촉진하기 위한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있다.

노동계는 고령자들의 노동 환경 개선을 위해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고령화 사회가 심화됨에 따라 고령자들의 경제적 자립을 위한 다양한 방안들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이번 연구 결과는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home 김민정 기자 wikikmj@wikitree.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