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철 빨래에서 나는 쉰내, 이렇게 하면 간단하게 해결 가능

2024-06-22 12:44

add remove print link

빨래 쉰내 없애는 여섯 가지 방법

글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픽사베이 자료사진.
글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픽사베이 자료사진.

여름엔 빨래에서 냄새가 나기 쉽다. 쉰내로 불리는 이 불쾌한 냄새의 원인은 모락셀라 박테리아다. 세제 찌꺼기, 피지, 땀 등을 먹고 사는 이 박테리아는 습한 환경에서 번식하기 쉽다. 면역력이 떨어지는 어린이, 노인 등에게 수막염, 피부염 등을 일으킬 수 있기에 주의해야 한다. 빨래 쉰내는 어떻게 제거할 수 있을까. 여섯 가지 방법을 소개한다.

■ 베이킹소다, 구연산, 식초 사용하기

섬유유연제 대신 베이킹소다나 구연산을 사용하는 게 좋다. 세탁한 옷감에서 냄새가 나는 원인은 섬유 속 찌든 때 때문이다. 곰팡이 번식을 막아주는 약알칼리성의 베이킹소다와 살균, 탈취 작용을 하는 식초를 사용하면 효과적이다. 베이킹소다, 구연산은 악취 제거에 효과적이다. 빨래를 헹굴 때 식초를 한두 숟갈 넣어주는 것도 도움이 된다.

■ 건조시간 단축하기

모락셀라 균 번식을 막으려면 빨래 건조 시간을 줄여야 한다. 빨래한 옷은 세탁 직후 햇볕이 잘 들고 통풍이 잘 되는 곳에서 건조하고, 옷 사이사이 간격을 넓혀서 말리는 게 좋다. 빨래 사이에 신문지를 끼워 넣거나 내부에 제습기 또는 선풍기를 켜 두면 도움이 된다.

■ 세탁기 내부 점검하기

오랜 기간 청소되지 않은 세탁조 속은 변기 안쪽보다 오염도가 높다. 세탁기는 물을 이용하는 기계인 까닭에 최소 한 달에 한 번은 내부까지 청소하는 게 좋다. 세제통, 배수 필터도 청소해야 한다. 곰팡이나 세제 찌꺼기가 쌓였을 수 있다. 또 통풍을 위해 세탁 후 세탁기 문과 세제 입구를 항상 열어두는 것이 좋다.

■ 세탁이 완료되면 빠르게 꺼내서 말리기

축축한 세탁물을 세탁기 안에 장시간 방치하면 세균이 번식하기 좋은 환경이 되기 때문에 빠르게 꺼내서 말리는 것이 중요하다.

■ 삶기

드럼 세탁기에 과탄산소다를 빨랫감과 함께 넣어 '삶음' 기능을 활용하면 좋다. 물의 온도를 95도까지 올려 섬유 사이사이 깊숙이 박힌 악취 원인들을 제거한다.

■ 헹굼 충분히 하기

찬물 세탁은 세제 효과가 떨어져 냄새를 제거하기 어려울 수 있다. 40도 정도의 따뜻한 물로 세탁하는 것이 좋다. 세제가 남아 있으면 냄새 원인이 된다. 헹굼 과정을 충분히 거쳐 세제를 완전히 제거한다.

home 채석원 기자 jdtimes@wikitree.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