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중 심판에게 '야구 규칙' 가르쳐준 이승엽… 정말 말도 안 되는 일이 발생했다 (+전말)

2024-06-20 17:28

add remove print link

포스 아웃-태그 아웃 상황 혼동해 벌어진 초유의 사태
KBO, 심판 위원들과 비디오 판독관에게 줄 징계 내려

국내 프로야구 경기 도중 어처구니없는 일이 실제로 발생해 논란을 모으고 있다. 논란이 커지자 한국야구위원회(KBO)는 결국 '징계'라는 칼을 뽑았다.

이번 사건 징계 대상은 프로야구 심판들과 비디오 판독관들이다.

지난 18일 NC 다이노스와의 경기에서 발생한 오심 때문에 심판에게 항의하는 이승엽 두산 베어스 감독. / 유튜브 '티빙 스포츠'
지난 18일 NC 다이노스와의 경기에서 발생한 오심 때문에 심판에게 항의하는 이승엽 두산 베어스 감독. / 유튜브 '티빙 스포츠'

사건의 전말은 다음과 같다.

지난 18일 서울 잠실구장에서 열린 두산 베어스와 NC 다이노스와의 주중 1차전 7회초 무사 1루, 6대 2 스코어였을 당시 사건이 발생했다. NC 8번 타자 김형준은 2루수 앞 땅볼을 때렸다. 이때 1루에 나가있던 김휘집은 2루로 뛰는 도중 두산 유격수 박준영에 의해 '포스 아웃'을 당했다. 이 과정에서 김형준은 1루에 공보다 먼저 도착해 세이프 판정을 받아다.

하지만 이 상황에서 2루 심판은 김휘집에게 '세이프' 판정을 내렸다. 김휘집이 박준영의 태그 플레이 보다 2루를 먼저 들어왔다며 세이프 판정을 한 것이다. 이는 명백한 '오심'이었다. 심판이 '포스 아웃' 상황과 '태그 아웃' 상황을 혼동해 내려진 잘못된 판정이었다.

더 충격적인 것은 그 이후 상황이었다.

김휘집에게 세이프 판정이 내려지는 것을 본 이승엽 두산 감독은 곧바로 심판진을 향해 비디오판독을 요청했다. 그러나 비디오판독에서도 오심은 유지됐다. 비디오 판독관마저 '태그 아웃' '포스 아웃' 상황을 헷갈려 잘못된 판정을 내린 것이다.

결국 이승엽 감독은 그라운드로 다시 나와 심판진에게 상황을 다시 설명하고 재차 항의했다. 이승엽 감독의 오랜 강습(?) 시간이 이어지고 나서야 심판진은 제대로 된 판정을 내렸다. 김휘집은 그렇게 아웃 처리됐다.

지난 18일 두산 베어스와ㅓ NC 다이노스와 경기에서 판정에 대해 설명하는 심판. / 유튜브 '티빙 스포츠'
지난 18일 두산 베어스와ㅓ NC 다이노스와 경기에서 판정에 대해 설명하는 심판. / 유튜브 '티빙 스포츠'

초유의 사태였다. 비디오판독이 번복되는 일은 이전까지 국내 프로야구 역사에서 단 한 번도 없었다.

이번에는 강인권 NC 감독이 그라운드로 나오며 항의했다. 비디오판독 결과는 검토 혹은 수정의 대상이 아니라는 것이 KBO 현 규정에 명백히 나와있기 때문이다.

해당 명분을 토대로 강인권 감독은 수 분간 심판진에게 항의했다. 다음 타자를 그라운드에 내보내지 않으며 강인권 감독은 오락가락하는 심판진 판정에 거세게 항의하는 제스처를 취하기도 했다.

이와 관련해 KBO는 "야구 규칙을 잘못 적용해 경기 운영에 혼란을 초래한 박근영 심판팀장, 장준영 심판위원, 문동균 경기 판독관에게 제재금 50만원씩을 부과하고 경고 처분했다"고 지난 19일 밝혔다.

해당 경기 심판조인 김병주, 정은재, 김준희 심판위원과 비디오 판독에 참여한 김호인 비디오판독센터장, 이영재 심판팀장 등은 경고를 받았다.

KBO는 "향후 정확한 규칙에 따라 판정과 비디오 판독이 적용될 수 있도록 심판 교육과 관리를 강화하고 현장 심판진과 판독 센터 간의 소통 개선 등 비디오 판독 상황에서의 매뉴얼을 보완하겠다"고 고개를 숙였다.

지난 18일 두산 베어스와 NC 다이노스 경기에서 발생한 문제의 장면. / 유튜브 '티빙 스포츠'
지난 18일 두산 베어스와 NC 다이노스 경기에서 발생한 문제의 장면. / 유튜브 '티빙 스포츠'

이번 사건을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다.

주자가 돌아갈 베이스가 있는, 진루 의무가 없는 경우에는 수비수가 직접 주자를 태그 해야 아웃이 성립되는 '태그아웃' 상황이 된다. 반면 주자가 돌아갈 베이스가 없는, 진루 의무가 있는 경우에는 단순히 수비수가 베이스를 먼저 밟기만 해도 아웃이 되는 '포스 아웃' 상황이 된다.

논란이 발생한 해당 경기에서 심판들이 포스 아웃 상황을 태그 아웃으로 잘못 판단했고, 비디오 판독에서도 이를 제대로 확인하지 못했던 것이 문제의 핵심이었다고 할 수 있다.

매우 기본적인 규칙의 미적용이 심판의 엇나간 판정으로 이어진 듯 보인다. KBO 제재 조치와 함께 심판 교육 및 매뉴얼 보완 등 후속 대책 마련이 반드시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를 통해 앞으로는 프로 경기에서 더 이상 이런 오심 사태가 재발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할 것이다.

home 권미정 기자 undecided@wikitree.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