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철 객실 안에서 가장 시원한 곳은 여기' 서울교통공사가 직접 공개했다

2024-06-20 09:06

add remove print link

지하철 시원하게 탈 수 있는 냉방 팁을 공개합니다

서울 지하철 7호선 자료사진. / 연합뉴스
서울 지하철 7호선 자료사진. / 연합뉴스
지하철 객실에서 가장 시원한 곳은 어디일까. 서울교통공사가 지하철을 시원하고 쾌적하게 이용하는 방법을 20일 공개했다고 연합뉴스가 이날 보도했다.

매체에 따르면 열차 내 냉기 흐름에 따라 온도가 가장 낮은 곳은 객실 양쪽 끝 교통약자 배려석 주변이고, 가장 높은 곳은 객실 중앙부다. 객실 양쪽 끝 교통약자 배려석 주변은 공기 순환이 적고 천장에 설치된 냉방기로부터 직접 찬바람이 불어온다. 반면 객실 중앙부는 공기가 모여 찬바람이 잘 통하지 않는다.

에어컨 바람이 직접적으로 닿는 좌석도 시원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자리다. 보통 천장에 설치된 에어컨의 위치를 확인해 그 아래쪽 좌석에 앉으면 더욱 시원한 바람을 느낄 수 있다.

몸 상태에 따라 자리를 이동하면 쾌적하게 지하철을 이용할 수 있다.

냉방을 가동한 전동차의 내부 온도는 좌석 위치에 따라 2∼4도의 차이가 난다.

혼잡한 시간대에는 많은 사람이 전철에 타게 되므로 객실 내 온도가 올라가기 쉽다. 반대로 비교적 한산한 시간대에는 에어컨 효과가 더 잘 느껴지기에 가능하다면 혼잡하지 않은 시간대를 선택해 전철을 이용하는 것도 한 방법이다. 공사에 따르면 승객이 많이 탈 경우엔 최대 6도까지 차이가 날 수 있다.

추위를 느끼는 승객은 일반 칸보다 1도 높게 운영되는 약냉방 칸을 이용하면 된다. 약냉방 칸은 1·3·4호선에서는 4·7번째 칸, 5·6·7호선은 4·5번째 칸, 8호선은 3·4번째 칸이다. 혼잡도가 높은 2호선엔 약냉방 칸이 없다.

열차 내 혼잡도 정보는 서울교통공사 공식 앱 '또타지하철'에서 확인할 수 있다. 덜 혼잡한 칸을 이용하면 보다 쾌적하게 지하철을 이용할 수 있다.

평년보다 일찍 더워지면서 열차 승무원들은 출퇴근 시간대에 냉방 장치와 송풍기를 가동하고 있다.

한편 이날 전국에선 33도 안팎의 무더위가 지속되고 전남권과 경남권, 제주도에 많은 비가 내릴 것으로 보인다고 기상청은 예보했다.

home 채석원 기자 jdtimes@wikitree.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