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야심차게 발사한 군사위성...공중에서 파편으로 흩어졌다

2024-05-28 09:24

add remove print link

발사 2분 만에 산산조각...90분 만에 실패 인정

북한이 발사한 군사정찰위성 발사체가 공중에서 폭발했다.

서북도서지역의 우리 경비함정의 감시장비로 촬영한 북 주장 군사정찰위성 폭발 실시간 영상 캡처. / 뉴스1
서북도서지역의 우리 경비함정의 감시장비로 촬영한 북 주장 군사정찰위성 폭발 실시간 영상 캡처. / 뉴스1

합동참모본부에 따르면 지난 27일 오후 10시 44분쯤 북한 평안북도 동창리 일대에서 서해 남쪽 방향으로 군사정찰위성 발사체로 추정되는 항적이 포착됐다.

이 항적은 2분 뒤인 오후 10시 46분쯤 북한 측 해상에서 다수의 파편으로 탐지됐다.

북한은 28일 새벽 관영 매체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국가항공우주기술총국이 27일 서해위성발사장에서 정찰위성 '만리경 1-1호'를 신형 위성 로켓에 탑재해 발사했다"며 "로켓이 1단 비행 중 공중 폭발하면서 발사가 실패했다"고 밝혔다.

또 "새로 개발한 액체산소와 석유 발동기(엔진)의 동작 믿음성에 사고의 원인이 있는 것으로 초보적인 결론을 내렸다"고 덧붙였다.

이는 발사 90여분 만에 나온 공식적인 실패 인정 선언이었다.

서울역에서 시민들이 북한의 군사정찰위성 발사 실패 뉴스를 지켜보고 있다. / 뉴스1
서울역에서 시민들이 북한의 군사정찰위성 발사 실패 뉴스를 지켜보고 있다. / 뉴스1

지난해 11월 북한이 세 번의 시도 끝에 군사정찰위성 '만리경 1호'를 궤도에 올리는 데 성공한 이후 6개월 만의 일이다. 지난 발사 성공 후 북한은 올해 안에 3개의 정찰위성을 추가로 발사하겠다고 공언한 바 있다.

한편 국가보안실은 지난 27일 오후 11시 40분쯤 장호진 국가안보실장 주재로 안보상황점검회의를 열고 북한의 추가 도발 가능성 등을 점검했다.

회의 참석자들은 "북한이 군사정찰위성을 발사한 건 성공 여부와 관계없이 유엔 안보리 결의 위반이며 한반도와 동북아, 국제사회를 위협하는 도발 행위"라고 규탄했다.

home 윤장연 기자 yun1245@wikitree.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