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근경색 피크 바뀌었다…겨울 아닌 봄에 발생률 최고”
2024-04-10 17:48
add remove print link
급성심근경색 환자 19만명 분석…”3월·12월·5월·4월 순으로 발생률 높아“
심근경색은 뇌졸중과 함께 급사를 유발하는 대표적인 질환으로 꼽힌다. 심장에 혈액을 공급하는 통로 역할을 하는 혈관(관상동맥)이 동맥경화에 의한 혈전(응고된 피 찌꺼기) 등으로 막히면서 심장 근육이 죽어가는 것이다.
심장을 둘러싼 근육에는 직경 1.5∼2㎜ 크기의 작은 혈관이 있는데, 임금이 머리에 쓰는 관 모양을 닮았다고 해서 '관상동맥'(冠狀動脈)이라고 부른다.
심장 근육의 손상은 얼마 지나지 않아 온몸에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하는 심장 기능의 악화로 이어진다. 이때 적극적인 치료가 이뤄지지 않으면 호흡곤란이나 부정맥 증상을 일으켜 심장이 멈출 수 있다.
심근경색은 급성인 경우, 10명 중 3명이 병원에 오기 전에 사망할 정도로 치명률이 높다. 병원에 도착해 적극적인 치료를 해도 사망률은 5~10%에 달한다.
이처럼 치명적인 심근경색은 계절의 영향에도 민감한 편이다. 그동안에는 평균기온이 낮은 겨울철에 많이 생기는 것으로 보는 게 일반적이었다.
추운 날씨가 혈관 수축을 유발하고 심박수와 혈압을 높여 혈관 속 혈전의 불안정성을 높임으로써 심장근육에 충분한 혈액이 공급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최근 연구에서는 겨울철에 단순히 추운 날씨보다 요즘처럼 야외활동이 늘어나는 봄철 환절기가 심근경색 발생에 더 큰 위험 요인이 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서울아산병원(의학통계학과 윤성철 교수)·동아대병원(심장내과 김무현 교수) 공동 연구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정보 빅데이터(2005~2014년)에 등록된 급성심근경색 환자 19만2천567명(남 12만9천846명, 여 6만2천721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이런 연관성이 확인됐다고 밝혔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JKMS' 최신호에 발표됐다.
연구팀은 우리나라의 계절을 봄(3~5월), 여름(6~8월), 가을(9~11월), 겨울(12~2월)로 구분한 뒤 10년 동안 급성심근경색 발생에 미친 영향을 분석했다.
이 기간 전체적인 급성심근경색 발생률은 2005년에 10만명당 69.1명에서 2014년에는 56.1명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건강검진에 의한 조기진단 및 관리, 경제력 향상 등이 발생률 감소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연구팀은 추정했다.
계절별 급성심근경색 발생률은 봄(63.1명), 겨울(61.3명), 가을(59.5명), 여름(57.1명) 순으로 높았다. 발생률은 평균기온이 낮아지는 9월부터 점차 증가했으며, 날씨가 더워지는 6~8월에는 발생률이 상대적으로 감소하는 특징을 보였다.
급성심근경색 발생률을 월별로 보면, 겨울에서 봄으로 넘어가는 3월(64.4명)이 가장 높았다. 다음으로는 겨울이 시작되는 12월(63.9)에 이어 역시 봄철인 5월(62.6명), 4월(62.3명) 순이었다.
혹한기로 분류되는 1월과 2월의 급성심근경색 발생률은 각각 62.1명, 58.0명으로 상대적으로 낮은 편에 속했다.
주목되는 건 일교차가 15도 이상으로 클 때보다 8~10도로 비교적 완만할 때 오히려 급성심근경색 발생률이 최고조에 달했다는 점이다.
연구팀은 많은 사람이 한겨울에 야외 신체 활동을 줄였다가 날이 풀리는 봄철에 운동과 야외 활동을 갑자기 늘리면서 급성심근경색 발생률이 높아지는 것으로 추정했다.
대한심장학회는 환절기에 보온이 부족한 옷을 입고 다니거나, 낮에 이완됐던 혈관이 저온에 노출될 때 급성심근경색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은 만큼 주의가 필요하다고 조언한다. 자율신경계의 균형이 깨져 혈관이 수축하고 혈압이 높아지며, 혈소판의 활성화로 혈액 응고가 생겨 혈관이 막힐 위험이 커진다는 설명이다.
급성심근경색 환자에게는 최대한 빠르게 혈전을 녹이는 혈전용해제를 쓰거나, 막힌 혈관을 빠르게 뚫어주는 치료가 필요하다.
시술로는 손목이나 사타구니의 혈관으로 카테터를 넣어 좁아진 혈관을 확장하는 풍선확장술과 스텐트 삽입술이 대표적이다. 하지만, 협착이 심한 경우에는 가슴을 열어 좁아진 심장혈관 대신에 건강한 혈관을 이어 붙여 주는 우회 수술을 해야 한다.
김무현 교수는 "봄철에 따뜻한 낮 기온에 맞춰 생활하다 보면 갑자기 쌀쌀해진 아침저녁 기온에 대응하지 못해 심장질환이 악화할 수 있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만약 일상생활 중에 숨이 가쁘거나 가슴이 조이는 듯한 통증 등의 증상을 느낀다면 즉시 병원을 찾아 진료받는 게 바람직하다"며 "특히 동맥경화증, 고지혈증, 고혈압, 당뇨병, 비만 등의 심혈관질환 가족력이 있는 사람은 그 자체로 심근경색 고위험군인 만큼 평소 더욱 주의해야 한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