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 안한 사람 누군가 봤더니…남자는 '저학력', 여자는 '고학력'

2024-01-08 21:15

add remove print link

미혼 여부가 노동공급에도 영향을 미치는 현실

남녀간 '결혼을 하지 않는 이유'에 있어 차이를 보였다.

8일 한국은행은 ‘미혼인구 증가와 노동공급 장기추세’ 보고서를 발표했다.

남성과 여성 모두 초혼 연령이 평균 30세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학력수준별로는 남성은 저학력, 여성은 고학력일수록 결혼을 하지 않았다.

결혼하지 않는 남녀가 현재 추세대로 계속 늘어나면 미래 노동 공급에 큰 차질이 불가피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사진 / KirylV-Shutterstock.com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사진 / KirylV-Shutterstock.com

자세히 보면 한국 미혼율은 2020년 기준 31.1%로, 2000년 27.9%에서 3.2% 증가했다. 이 기간 초혼 연령이 남성은 29.3세에서 33.7세로, 여성은 26.5세에서 31.3세로 빠르게 늘어나는 등 늦은 결혼(만혼) 현상도 심화됐다.

평생 결혼하지 않는 인구 비중인 생애미혼율은 2013년 약 5%에서 2023년 14%로 높아졌다.

학력수준별로 보면 남성은 저학력에서, 여성은 고학력에서 미혼율이 높았다.

지난해 1~11월 30~54세의 미혼 비중을 파악한 결과 저학력 남성의 미혼비중은 30.9%로 고학력 남성(27.4%)보다 3.5% 포인트 높았다.

그에 비해 여성은 고학력 여성의 미혼 비중이 28.1%를 기록해 저학력 여성(15.9%)의 두배나 됐다.

정선영 한국은행 조사국 고용분석팀 과장은 “저학력 남성의 미혼율이 고학력 남성에 비해 높게 나타나는 것은 비자발적 요인으로 볼 수 있다”며 “저학력 여성의 미혼율은 낮고 고학력 여성은 높게 나타나는 점은 자기선택적 요인으로 해석해볼 수 있다”고 밝혔다.

미혼 여부는 노동공급에도 영향을 미쳤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사진 / OSTILL is Franck Camhi-Shutterstock.com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사진 / OSTILL is Franck Camhi-Shutterstock.com

남성은 미혼인 경우 노동공급을 줄이는 요인이 되는 것으로 분석됐다. 2013~2023년 기혼 남성의 평균 경제활동참가율은 96%로 미혼 남성(83%)보다 13% 포인트 높았다. 고용률도 기혼 남성이 95%로 미혼(79%)보다 더 높았다.

여성은 이와 반대였다. 미혼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과 고용률은 기혼여성보다 각각 19% 포인트, 16% 포인트 높았다.

home 김민정 기자 wikikmj@wikitree.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