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주요 지자체면 다 진행하는 제야 타종 행사... 유독 제주만 없는 이유는?

2023-12-31 21:32

add remove print link

서울 비롯 경기·강원·전북·경남·부산 등 전국 15개 주요 지자체서 진행하는데...

국내 주요 지방자치단체가 매년 12월 31일 자정을 맞아 타종 행사를 진행하는데 유독 제주만 하지 않는 이유는 무엇일까.

서울 종로구 보신각에서 열리는 '제야의 종' 타종 행사 / 연합뉴스
서울 종로구 보신각에서 열리는 '제야의 종' 타종 행사 / 연합뉴스

매년 12월 31일 자정을 맞아 서울 종로구 보신각에서 열리는 '제야(除夜)의 종' 타종 행사는 1953년부터 이어온 한국 대표 새해맞이 행사다.

조선 태조 때 도성의 문이 열리고 닫히는 걸 알리기 위해 종을 쳤던 것과 한 해의 마지막 날 각 사찰에서 108번 종을 치던 불교 행사 등에서 유래한 것으로 전해진다.

'제야'(除夜)는 '섣달그믐날 밤'을 뜻한다. 한 해의 마지막 날 밤 어둠을 걷어내고 새로운 해를 맞이한다는 의미다.

제야의 타종 행사는 서울을 비롯해 경기·강원·전북·경남·부산 등 전국 15개 주요 지방자치단체에서 진행하고 있다.

단, 제주에선 타종 행사를 하지 않는다. 제주목관아에 '종'이 없기 때문이다. 대신 제주시청 한얼의 집에서 대형 북인 용고(龍鼓)를 치며 새해 무사 안녕을 기원하는 '제야의 용고 타고' 행사를 개최한다.

과거엔 제주에도 타종할 종이 있었다.

1434년(세종 16년) 제주안무사로 부임한 최해산(崔海山)이 당시 불에 탄 제주목관아를 수리하고 다시 지은 경위를 새겨 넣은 '홍화각기'(1435년, 弘化閣記)를 보면 목관아 외대문 2층 누각에 종과 북을 달았다는 기록이 있다.

이후 1847년(헌종 13년) 이의식 목사가 종에 금이 생기자 이를 녹여 화로와 무기로 만들었지만, 그 이듬해 부임한 장인식 목사가 이를 안타깝게 여겨 전라남도 영암 미황사에 있는 큰 종을 사들여 다시 매달았다고 한다. 그러다 1913년 제주도청을 짓는다는 일제에 의해 제주목관아와 함께 강제 철거된 것으로 알려졌다.

제주목관아는 2002년 12월 1차 복원됐지만 종은 다시 만들지 않았다.

제주 역사문화를 연구해 온 강문규 전 한라산생태문화연구소장은 연합뉴스에 "제주목관아를 복원하고도 정작 관아에 생명력을 불어넣는 종 복원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 탐라의 종이 다시 울리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home 방정훈 기자 bluemoon@wikitree.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