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 많을수록 애 안 낳아…연 7000만원 이상 고소득자 무자녀 비율이 10% 더 높은 이유
2023-12-12 10:12
add remove print link
통계청, '2022년 신혼부부통계' 발표
최근 5년 내 혼인신고 후 국내 거주 중 부부 조사
연 평균소득이 7000만원 이상인 고소득 신혼부부일수록 무자녀 비중이 더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소득 규모보다 우리 사회의 경쟁 압력과 불안이 초저출산 문제의 핵심 원인이라는 전문가 분석이 나왔다.
통계청이 지난 11일 발표한 '2022년 신혼부부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초혼 신혼부부의 연간 평균소득은 6790만원으로 전년 대비 6.1%(390만원) 증가했다.
구체적인 조사 대상은 최근 5년 이내 혼인신고를 하고, 국내에 거주하면서 혼인 관계를 유지 중인 부부다.
소득 구간별로 보면 '5000만~7000만원 미만'이 22%로 가장 많았고, 이어 '7000만~1억원 미만' 21.3%, '3000만~5000만원 미만' 20.2%, '1억원 이상' 17.9% 순이다.
연 평균소득은 늘었지만 자녀가 있는 신혼부부의 비중은 오히려 감소하는 추세다.
지난해 초혼 신혼부부 81만5000쌍 중 자녀가 있는 신혼부부는 43만7000쌍(53.61%)으로 전년 대비 0.6% 감소했다.
놀라운 점은 소득이 높으면 유자녀 비율이 높을 것이란 일반적인 통념이 빗나갔다는 것이다.
연 평균소득이 7000만~1억원 미만인 신혼부부는 유자녀 비중이 46.2%, 1억원 이상인 신혼부부는 48.4%로 조사됐다. 이를 해 집계한 7000만원 이상 신혼부부의 유자녀 비율은 47.3%다.
반면 연 평균소득이 7000만원 미만인 신혼부부들은 유자녀 비중(58.2%)이 더 높았다.
구체적으로 △1000만원 미만 60.1% △1000만~3000만원 미만 58.1% △3000만~5000만원 미만 59.8% △5000만~7000만원 미만 54.8% 순이다.
통계청 관계자는 "소득이 7000만원 이상인 구간에서 무자녀 비중이 더 높게 나타났지만, 외벌이 부부는 맞벌이보다 소득이 상대적으로 낮아도 유자녀 비율이 높다"고 밝혔다.
우리나라의 저출산 문제의 주된 원인은 소득 규모보다 만연한 경쟁 압력과 불안에 있다는 분석도 나왔다.
한국은행은 최근 펴낸 '초저출산 및 고령화사회: 심각성과 그 원인은' 보고서를 통해 "저출산의 핵심 원인은 경쟁 압력과 고용·주거·양육 등에 대한 불안이다. 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경쟁 압력을 많이 느끼는 청년일수록 희망 자녀 수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