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SNS서 '윤석열 탄핵' 키워드가 돌아다니며 빠르게 퍼지고 있는 이유

2023-08-23 12:09

add remove print link

트위터 실시간 트렌드에 등장한 키워드
김용민 “민주당 168석으로 윤석열 탄핵발의하자”

트위터 등 SNS에서 '윤석열 탄핵'이라는 키워드가 빠르게 퍼지고 있다. 이 같은 확산은 더불어민주당 김용민 의원 SNS 게시물에서부터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21일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을지 및 제35회 국무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 대통령실 제공-뉴스1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21일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을지 및 제35회 국무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 대통령실 제공-뉴스1

23일 오전 10시 트위터 트렌드에 '윤석열 탄핵' 키워드가 올라와있다. / 트위터
23일 오전 10시 트위터 트렌드에 '윤석열 탄핵' 키워드가 올라와있다. / 트위터

지난 22일 김 의원은 페이스북에 "민주당 168석으로 윤석열 탄핵발의하자! 민주당 단독으로 가능하다. 이제는 해야 한다!"고 게시물을 올렸다. 앞서 김 의원은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를 오는 24일부터 시작한다는 내용의 기사를 캡처본으로 전하며 "이걸 막지 못하면 윤석열 정부는 존재 이유가 없다. 탄핵 사유이고, 퇴진 운동에 더 불이 붙을 것"이라고 올리기도 했다.

김 의원 해당 탄핵 언급 게시물은 SNS 등에서 빠른 속도로 퍼졌고, 많은 이들이 갑론을박을 벌였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안을 발의하자고 지난 22일 공개적으로 글 올린 더불어민주당 김용민 의원. / 김용민 의원 페이스북
윤석열 대통령 탄핵안을 발의하자고 지난 22일 공개적으로 글 올린 더불어민주당 김용민 의원. / 김용민 의원 페이스북

이에 대해 같은 당 김종민 의원은 23일 오전 SBS 라디오 '김태현의 정치쇼'에 출연해 "개인적으로나 광화문 집회에서 주장하고 외칠 수는 있지만 국회의원이나 우리 정당이 추진하기에는 아직까지는 조금 무리 아닌가 싶다"며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

김 의원은 "탄핵은 대한민국 헌정을 일시적으로 변경, 중단하는 것이다. 그걸 원하는 사람들도 있지만 원치 않거나 그걸 걱정하는 사람도 많이 있다"며 "정치적으로 우리가 문제 제기를 한번 해 보는 거로 꺼내기에는 탄핵이라는 카드가 너무 무거운 카드"라고 소신을 밝혔다.

그러면서도 "윤석열 정부가 실정을 계속하고, 또 정말로 불법적인, 법률이나 헌법정신에 위반되는 그런 행동을 하게 되면 그런 날이 올 수도 있을 것"이라며 "아직은 그런 상황은 아닌 것 같다"고 말을 아꼈다.

한편 일본 정부는 지난 22일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 오염수(일본 정부 명칭 '처리수') 해양 방류를 이르면 24일부터 개시하기로 결정했다.

전북시민사회연대 관계자들이 23일 전북 전주시 전북도청 앞에서 '후쿠시마오염수 해양투기 규탄'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 뉴스1
전북시민사회연대 관계자들이 23일 전북 전주시 전북도청 앞에서 '후쿠시마오염수 해양투기 규탄'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 뉴스1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는 이날 오염수 방류를 위한 관계 각료회의를 마친 뒤 방류 개시 시점과 관련해 "기상 등 지장이 없으면 24일로 예상한다"며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과학적 근거에 기초한 대응에 폭넓은 지역·국가로부터 이해와 지지 표명이 이루어져 국제사회의 정확한 이해가 확실히 확산하고 있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대통령실은 과학에 기반한 평가를 강조하면서 일본이 방류하는 오염수에 대한 철저한 모니터링을 하겠다고 의지를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에 대한 내용이 정치적 공세로 이어지는 것은 올바른 방향이 아니라며 국민 생명과 안전을 위협하는 일이 절대 없도록 철저하게 대비하겠다는 것이 당정 입장이다.

이에 대해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는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는 "제2의 태평양 전쟁"이라는 표현까지 쓰며 강력히 규탄한다는 입장을 표했다.

이 대표는 23일 국회 최고위원회의에서 "일본 핵 오염수 방류는 제2의 태평양 전쟁으로 기록될 것"이라며 "민주당은 국민과 함께 총력 투쟁에 나서겠다. 할 수 있는 모든 수단을 동원해 국가 책무를 저버린 윤석열 정부에 책임을 묻겠다"고 강하게 말했다.

home 권미정 기자 undecided@wikitree.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