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톡 오류 틈타 기승부리는 '이것'…반드시 확인하고 눌러봐야 합니다
2022-10-17 16:00
add remove print link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의 공식 발표 내용
카카오톡 설치파일 위장한 악성 프로그램 기승
정부가 카카오 서비스 장애를 틈타 기승을 부리고 있는 악성 프로그램에 대한 주의를 당부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은 최근 카카오톡 설치파일(KakaoTalkUpdate.zip 등)로 위장해 악성프로그램 설치를 유도하는 해킹 메일을 확인했으며 해당 유포 사이트를 긴급 차단했다고 17일 밝혔다.
이어 "서비스 장애 관련 문자메시지와 사기(피싱) 사이트에 로그인을 유도해 사용자 계정정보를 탈취하는 사이버 공격 가능성도 높은 상황이다"라며 이용자들의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카카오 역시 이날 공식 트위터 계정을 통해 "카카오는 장애 복구 과정에서 별도의 파일 설치를 요구하거나, 기존에 이용하던 서비스가 아닌 새로운 사이트에 로그인을 요구하지 않는다"라고 공지했다.
카카오팀이 알려드립니다.⁰카카오는 장애 복구 과정에서 별도의 파일 설치를 요구하거나, 기존에 이용하던 서비스가 아닌 새로운 사이트에 로그인을 요구하지 않습니다. 자세한 스미싱 관련 안내는 KISA 인터넷 보호나라를 참고 부탁드립니다. 각별한 주의를 당부드립니다. https://t.co/hDcytfwJW2
— 카카오팀 (@kakaoteam) October 17, 2022
카카오 서비스 사용자는 개인용 컴퓨터와 스마트폰 보안을 강화하고 의심이 드는 메일을 열람하거나, 문자결제사기(스미싱) 문자를 클릭하지 않도록 주의가 필요하다. 악성코드 감염 등 피해가 발생했다면 한국인터넷진흥원 보호나라 홈페이지를 통해 즉시 신고하고, '내 피시 돌보미' 서비스를 통해 필요한 조치를 지원 받을 수 있다.

과기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 관계자는 "카카오를 사칭한 해킹 메일, 문자 결제사기 등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라며 "악성프로그램 유포 사이트를 신속하게 탐지해 차단 중이며, 집중 모니터링을 강화하는 등 유사시 사고 대응을 위해 만전을 가하고 있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