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120시간 바짝 일하고…” 윤석열 발언에 사람들 경악했다

2021-07-20 10:15

add remove print link

윤 전 총장 “주당 120시간 바짝 일하고 마음껏 쉴 수 있어야”
휴일 없이 하루 평균 17시간 근무... 곳곳에서 비판 쏟아졌다

야권 대선후보로 나선 윤석열 전 검찰총장이 주 52시간제를 비판하던 중 주당 120시간 근무를 예시로 들어 논란이 되고 있다.

윤석열 전 총장 / 뉴스1
윤석열 전 총장 / 뉴스1

윤 전 총장은 지난 19일 매일경제와의 인터뷰에서 "현 정부는 주 52시간제로 일자리가 생긴다고 주장했지만 일자리 증가율은 중소기업 기준 0.1%에 불과했다. 실패한 정책이다"라며 주 52시간제에 대해 비판적인 시각을 드러냈다.

이어 그는 "스타트업에 근무하는 청년들을 만났더니 주 52시간 제도 시행에 예외 조항을 두어 근로자가 조건을 합의하거나 선택할 수 있게 해달라고 요청했다"라며 "게임 하나 개발하려면 한 주 52시간이 아니라 일주일에 120시간이라도 바짝 일하고 이후에 마음껏 쉴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라고 말했다.

[단독] 윤석열 "기업 잘못은 개인 아닌 법인에 책임 물어야" 대권주자 윤석열 인터뷰 경영진 처벌 형사법 개정 필요 그래야 오너리스크도 사라져
매일경제

이는 예외 조항만 존재한다면 120시간 근무도 가능하다는 발언으로 해석돼 논란이 일었다. 주당 120시간을 근무하기 위해서는 쉬는 날 없이 하루 평균 17시간 근무를 해야 한다.

기사와는 관련 없는 사진 / 셔터스톡
기사와는 관련 없는 사진 / 셔터스톡

정치권에서는 비판이 쏟아졌다. 김남국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사람은 밥도 먹고 잠도 자고 화장실도 가고 출퇴근도 한다. 어떻게 일주일에 120시간을 바짝 일할 수 있냐"라며 "업무의 특성을 고려해도 이것은 사실상 가능하지 않다. 가능하더라도 바람직하지 않다"라고 비판했다.

김 의원은 "이미 주 52시간 근무제에는 예외조항이 있다. 연구개발 분야는 이 예외조항이 상당히 넓게 허용된다. 관련 법률을 충분히 찾아보시고 말씀하면 좋을 것 같다"라고 덧붙였다.

조국 전 장관도 트위터를 통해 "120시간은 주 5일 근무 시 하루 24시간 노동이다. 대량 과로사를 부르는 제안"이라며 강하게 비판했다.

클리앙 네티즌들은 "노동시간이 너무 길어서 줄여야 할 상황인데...", "일주일에 120시간? 일주일 일 하면 죽겠다", "주당 120시간 영원히 쉴 수도 있겠다"라는 댓글을 달았다.

FM코리아 네티즌들은 "정치인으로서 단어 선택의 문제가 있다. 탄력근무제에 대해서만 얘기했어야 한다", "7일 꼬박 일해도 하루에 17시간이다", "120시간이 극단적인 예시를 든 거긴 하다. 하지만 그래도 실언이 맞다", "중세시대 노예도 아니고..."라는 반응을 보였다.

네티즌 반응 / 클리앙
네티즌 반응 / 클리앙
네티즌 반응 / FM코리아
네티즌 반응 / FM코리아
home 김성민 기자 story@wikitree.co.kr

NewsC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