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간 특집] “독자에게 한 걸음 더 가까이” 위키트리 창간 11주년, 더욱 새로워진 것들
2021-04-29 08:00
add remove print link
2021년 4월 29일 위키트리 창간 11주년 맞아
위키트리, 국내 대표 소셜미디어로 자리 잡아

위키트리가 2021년 4월 29일, 창간 11주년(회사 창립 12주년)을 맞았다.
위키트리는 지난 2010년 '대한민국 최초의 SNS(Social Network Service) 기반 뉴미디어'라는 가치를 걸고 뉴스 서비스를 시작했다.
11년 동안 위키트리는 페이스북에서만 600만 명에 달하는 팔로워를 모으며 국내 대표 소셜미디어로 자리 잡았다.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트위터, 유튜브 같은 SNS와 뉴스 포털사이트 등 30여 개 채널에서 기사와 동영상 다양한 콘텐츠로 독자들과 소통하고 있다.
위키트리가 달려온 11년, 독자에게 다가가기 위한 새로운 시도들
위키트리는 지난해 창간 10주년 이후 1년간 많은 변화를 겪었다. 지난해 5월 광화문에서 상암으로 사옥을 확장 이전하고 7월에는 새로운 경영진(민병관 대표)을 초빙했다.
각 부서별 인력 확충도 활발히 이뤄졌다. 회사 식구가 늘어난 만큼 효율적 운영을 위해 소셜본부, 경제본부, I&I(imformation & interest)본부, 운영본부 4개 본부 체제로 개편했다. 지역취재본부인 경북동부 취재본부도 새롭게 개설됐다.
2018년 1월 지역 취재본부가 첫 출범한 이후 현재까지 광주전남·부산경남·대구경북·전북·세종대전충청·경기북부·경북동부 총 7개 본부가 운영되고 있다.
2021년 새해에는 새로운 위키트리 크레도(CREDO, 신조)를 제정했다. '트렌드를 선도하는 젊은 미디어'답게 빠르고 정확한 스토리, 정의롭되 따뜻한 스토리, 재밌고 정보가 되는 스토리로 독자에게 더 가까이 다가가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소셜 본부에서는 '옴부즈맨 제도'가 도입됐다. 데스크 기능을 강화해 기사의 품질을 높이고, 독자 필요에 맞춘 콘텐츠를 생산하는 데 중점을 뒀다. 또 '감동팀'도 신설해 재미와 감동 모두를 잡을 수 있는 콘텐츠 개발을 위해 매진하고 있다.
경제 본부는 콘텐츠 강화를 위한 체질 개선을 시행했다. 경제국을 본부로 승격하고 에디터 인원을 보강해 양질의 기사를 생산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했다.
이외에도 아침 시간대 다양한 분야의 볼거리를 제공하는 동영상 데일리 뉴스 '오늘은 머니?'와 전 세계 디지털 콘텐츠 최신 동향을 알려주는 '위클리 리포트' 등 알찬 콘텐츠로 독자들을 만나고 있다.

지난 11년간 바쁘게 달려온 위키트리는 다음 10년을 위한 도약을 준비 중이다. 약 80여 명의 위키트리 임직원은 급변하는 미디어 환경에서 독자에게 더 가까이 다가가기 위한 도전을 계속하고 있다.
위키트리 연혁
2009년
4월 29일 법인 설립 (상호: ㈜위키미디어, 자본금 1억5천만원)
6월 11일 'WIKITREE' 상표등록 및 도메인 등록(등록번호 제 41-0207659호)
9월 28일 유상증자 실시 (증자후 자본금 5억5천만원)
9월 30일 사무실 이전 및 상호 변경 (변경 후 상호 : ㈜소셜뉴스)
11월 20일 wikitree.co.kr 베타 서비스 개시
2010년
2월 브랜드뉴스팀 개설
3월 24일 유상증자 실시 (증자후 자본금 5억8천만원)
5월 20일 모바일 웹 서비스 오픈
11월 2일 기독교방송(CBS) - 노컷뉴스와 업무협약 체결
11월 24일 저작권 모니터링 시스템 가동
2011년
9월 19일 유상증자 실시 (증자후 자본금 7억5천만원)
12월 9일 제1회 SNS 홍보 실행전략 컨퍼런스 개최
2012년
2월 13일 소셜스튜디오 개국 및 소셜방송 개시
4월 4일 제2회 SNS 홍보 실행전략 컨퍼런스 개최
5월 11일 ‘한류외교 K-POP 쇼케이스’ 개최
2013년
3월 7일 현재 사옥(중구 정동 두비빌딩)확장 이전
5월 3일 네이버 뉴스 검색 제휴
9월 10일 다국어 글로벌 뉴스 서비스 개시
11월 5일 위키트리 페이스북 페이지 10만 돌파
12월 13일 필립 할스만 '점핑 위드 러브' 사진전 개최 (2013.12.3~2014.2.23 세종문화회관)
2014년
1월 10일 다음 뉴스 검색 제휴
1월 23일 카카오플러스 서비스 개시
3월 27일 국내 최초 ‘뉴스큐레이션’ 서비스 개시
5월 12일 산업·경제부 개설
5월 26일 위키트리 아시아 9개국 언어 사이트 추가 개설
6월 18일 연합뉴스 다국어뉴스 제휴
8월 19일 소셜뉴스 우리사주조합 결성
8월 21일 유상증자 실시 (증자후 자본금 8억5천5백만원)
10월 15일 제3회 SNS실행전략 ‘갈등관리 리스크관리’ 컨퍼런스 개최
2015년
2월 3일 창간 5주년 기념 강연회 "미디어 대변혁, 직접미디어 시대가 열렸다" 개최
2월 2일 '구글 뉴스' 검색 제휴
3월 5일 위키트리 뉴스 스토리텔링 가이드라인 제정
3월 11일 창간 5주년 기념 기업초청 강연회 'SNS 직접미디어 시대 기업 미디어전략' 개최
3월 23일 마크 로스코 전시회 개최(2015.3.23~6.28 예술의전당)
6월 26일 초고속 컨텐츠 서버 CDN 개통
6월 30일 대한민국 SNS산업대상 미디어부문상 수상
7월 21일 네이버 뉴스스탠드 서비스 개시
8월 18일 차세대 서버시스템 가동
9월 18일 교보생명 임직원상해 질병종합보험 가입
10월 1일 자체 개발 VR(가상현실) 사진 서비스 개시
10월 4일 '위키트리 오리지날 꿀잼' 출시
10월 12일 '네이버 밴드'에 뉴스매체 최초로 뉴스 공급 개시
10월 20일 세계 최대 이동통신 산업 전시회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MWC) 2016' 공식 미디어 지원 파트너 협약 체결
2016년
1월 18일 헤드라인 실시간 자동 설정 시스템 '다이내믹 헤드라인' 서비스 개시
2월 3일 ‘앳나인필름’과 다큐멘터리 영화 ‘트윈스터즈(Twinsters)' 공동제공 계약 체결
2월 5일 위키트리 모바일 웹 사이트 개편
2월 17일 위키트리 퇴직연금제도 도입
2월 22일 MWC 스페인 바르셀로나 현지 뉴스룸 파견 운영
4월 16일 사무실 사무공간 확장(6층)
6월 1일 위키트리 BI 개편
9월 6일 Content Marketing World Conference (미국 클리블랜드) 참가
10월 24일 페이스북 펫 채널 운영 개시
10월 24일 페이스북 푸드 채널 운영 개시
12월 6일 르 코르뷔지에 서울특별전 공동 주최(2016.12.6~2017.3.26 예술의전당)
2017년
2월 1일 구글 뉴스 스탠드 서비스 시작
2월 8일 소셜 스튜디오 확장 및 페이스북 라이브 방송 본격 송출
3월 16일 아마존 AWS(Amazon Web Service)로 클라우드 서버 이전
3월 31일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MWC) 2017 - 상하이' 공식 미디어 지원 파트너 선정
5월 16일 제휴 콘텐츠 서비스(ACS) 시작
7월 12일 '가짜뉴스 찾기' 대회 단독 후원
8월 23일 페이스북 뷰티 채널 운영 개시
9월 11일 CJ대한통운, 위키트리 커머스(택샵) 물류 전폭지원
9월 12일 위키트리-국제공정무역기구 업무협약 체결
9월 13일 스토리 커머스 사이트 '택샵' 오픈
12월 21일 알베트로 자코메티 특별전 공동주관(2017.12.21~2018.4.16 예술의전당)
2018년
1월 17일 호남취재본부 개설
2월 23일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MWC) 2018 - 바르셀로나' 공식 미디어 지원 파트너 선정
3월 29일 '스팀잇' 기반, 블록체인 미디어 서비스 개시
6월 19일 부산경남취재본부 개설
7월 24일 경기북부취재본부 개설
8월 28일 위키트리 사이트 리뉴얼
10월 24일 인천취재본부 개설
2019년
1월 2일 대구경북 취재본부 개설
2월 18일 선거여론조사 사전신고 면제 10대 인터넷언론사 선정
4월 30일 페이스북 리빙 채널 운영 개시
6월 7일 전북 취재본부 개설
7월 9일 '로마 이전, 에트루리아' 특별전 개최(2019.7.9~10.27 국립중앙박물관)
8월 1일 세종대전충청 취재본부 개설
2020년
1월 29일 위키기자 서비스 종료
3월 19일 동영상 전문채널 '바바바' 페이스북 페이지 개시
3월 19일 브랜드업 스튜디오 개설
4월 13일 페이스북 엔터 채널 운영 개시
4월 20일 게임 전문채널 '후덕지근' 페이스북 페이지 개시
5월 14일 위키트리 사무실 확장 이전 (상암동, K-biz DMC타워)
6월 15일 소셜미디어 연구소 설립
7월 1일 민병관 대표이사 취임
10월 19일 위클리 리포트 연재 개시
12월 14일 위키트리 크레도(CREDO) 제정
2021년
2월 15일 소셜본부 옴부즈맨 제도 도입
2월 15일 경북동부 취재본부 개설
4월 1일 I&I(imformation & interest)본부, 소셜본부, 경제본부, 운영본부 4개 체제로 개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