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 치유를 담은 드라마 '나의 아저씨' 명장면 15선 (영상+사진)
2018-05-23 15:20
add remove print link
"난 아저씨 아버지 뭐하시는지 하나도 안 궁금한데 왜 우리 아버지가 궁금할까"
지난 17일 tvN 드라마 '나의 아저씨'가 종영했다.
'나의 아저씨'는 마지막 회에서 자체 최고 시청률 7.4%를 기록했다. 배우 이선균(43) 씨는 삶의 무게를 버티며 성실한 무기수처럼 살아온 박동훈 역을 맡았다. 가수 아이유(이지은·25)는 병든 할머니와 단둘이 쫓기듯 사는 이지안을 연기했다. 드라마는 두 주인공이 서로를 통해 삶을 치유하는 과정을 담고 있다.
'사랑'보다 '사람'에 집중하며 잔인한 현실에 맞서 행복을 찾아 나간 '나의 아저씨'는 수많은 명장면을 만들었다.
'나의 아저씨' 속 인상적인 장면들을 모아봤다.
1. 무례한 어른에게 건넨 '사이다' 충고

(35초부터)
"아버지는 뭐하시고?"
"아저씨 아버지는 뭐 하세요? 난 아저씨 아버지 뭐하시는지 하나도 안 궁금한데 왜 우리 아버지가 궁금할까"
"아, 그냥 물어봤어"
"그런 걸 왜 그냥 물어봐요?"
"어른들은 애들 보면 그냥 물어봐. 그런걸"
"잘 사는 집구석인지 못사는 집구석인지 아버지 직업으로 간보려고?"
"하, 미안하다"
"실례에요, 그런 질문"
"그래 실례했다"
2. 상처받은 아이를 향한 '진짜' 어른의 시선

(1분 20초부터)
"너희는 걔 안 불쌍하냐?"
"뭐가 불쌍해요. 그런 싸가질"
"경직된 인간들은 다 불쌍해. 살아온 날들을 말해주잖아. 상처받은 아이들은 너무 일찍 커버려. 그게 보여. 그래서 불쌍해. 걔 지난날들을 알기가 겁난다"
3. 좋은 사람은 아무나 되는 게 아니야

(3분 23초부터)
"아까 그 사람 누구야?"
"회사 사람"
"좋은 사람이지? 좋은 사람 같아"
"잘 사는 사람들은 좋은 사람 되기 쉬워"
4. 상처를 모른 척 해야 하는 이유
"누가 욕하는 거 들으면 그 사람한테 전달하지 마. 그냥 모른 척해. 너희 사이에선 다 말해주는 게 우정일지 몰라도 어른들은 안 그래. 모른 척하는 게 의리고 예의야. 괜히 말해주고 그러면 그 사람이 널 피해. 내가 상처받은 거 아는 사람 불편해해. 보기 싫어. 아무도 모르면 돼. 그럼 아무 일도 아니야. 아무도 모르면 아무 일도 아니야"
"그러면 누가 알 때까지 무서울 텐데. 누가 알까, 또 누가 알까. 만나는 사람마다 이 사람은 또 언제 알게 될까. 혹시 벌써 알고 있나. 어쩔 땐 이렇게 평생 불안하게 사느니 그냥 세상 사람들 다 알게 광화문 전광판에 떴으면 좋겠던데"
"모른 척해줄게. 너에 대해서 무슨 얘길 들어도 모른 척해줄게. 그러니까 너도 약속해주라. 모른 척해주겠다고. 겁나. 넌 말 안 해도 다 알 거 같아서"
5. 대놓고 갈구는 상사에게 날린 직구

(1분 30초부터)
"새파랗게 어린애 앞에 두고 연장이나 들고 있고. 좀 뒤집어 주겠니? 싫어?"
"그러다 내가 더 잘 구우면 어쩌려고. 남 수발드는 거 다 예쁨받으려고 하는 짓인데. 그거마저 뺏어가면 뭐로 예쁨받으려고요?"
6. 잘나지 못한 사람으로 사는 심정

(2분 17초부터)
7. 아이에게 '좋은 어른'이 필요한 이유

(1분부터)
"부모님은 계시나? 할머니 때문에 물어보는 거야"
"돌아가셨어요, 두 분 다"
"할머니한테 다른 자식은?"
"없어요"
"근데 왜 할머니를 네가 모셔? 요양원에 안 모시고"
"쫓겨났어요. 돈을 못 내서"
"손녀는 부양의무자 아니야. 자식 없고 장애 있으면 무료로 들어갈 수 있는데. 왜 돈을 못 내서 쫓겨나? 아 혹시 할머니랑 주소지 같이 쓰니? 주소지 분리해. 같이 사는 데다가 네가 소득이 잡히니까 혜택을 못 받는 거 아니야. 주소지 분리하고 장기 요양 등급 신청해. 그런 거 가르쳐주는 사람도 없었냐?"
8. 두려워하며 사는 사람에게 하고 싶은 말

(2분 30초부터)
9. 못난 협박에 대처하는 자세



(1분 8초부터)
"진짜 내가 안 미운가?"
"사람 알아버리면, 그 사람 알아버리면 그 사람이 무슨 짓을 해도 상관없어. 내가 널 알아"



(1분 42초부터)
"살인 아닙니다. 정당방위로 무죄판결 났습니다"
"알고 있었다는 말이네? 알면서 계속 이런 앨 회사에 다니게 둔 거야? 어? 사람 죽인 애를?"
"누구라도 죽일법한 상황이었습니다. 상무님이라도 죽였고 저라도 죽였습니다. 그래서 법이 그 아이에겐 죄가 없다고 판결을 내렸는데 왜, 왜 이 자리에서 이지안 씨가 또 판결을 받아야 되는지 모르겠습니다. 이런 일 당하지 말라고 전과 조회도 잡히지 않게 어떻게든 법이 그 아이를 보호해주려고 하고 있는데 왜 그 보호막까지 뚫어가면서 한 인간의 과거를 그렇게 붙들고 늘어지십니까? 내가 내 과거를 잊고 싶어하는 만큼 다른 사람의 과거도 잊어주려고 하는 게 인간 아닙니까?"
"여기 회사야!"
"회사는 기계가 다니는 뎁니까? 인간이 다니는 뎁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