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경선 때 날 세운 김두관을 왜 불렀나?

2025-04-30 14:10

add remove print link

‘정적’에서 ‘핵심 참모’로 복귀한 배경

김두관 전 더불어민주당 의원. / 뉴스1
김두관 전 더불어민주당 의원. / 뉴스1

더불어민주당이 조기 대선을 앞두고 30일 발표한 중앙선거대책위원회 인선에서 '비명계' 김두관 전 의원이 이재명 대선 후보 직속 기구인 ‘지방분권혁신위원회’ 위원장에 전격 기용됐다. 한동안 이 후보와 불편한 관계를 이어온 김 전 의원의 깜짝 발탁은 그의 정치적 복귀이자, 이 후보의 통합 전략 신호로 해석되고 있다.

민주당은 이날 국회에서 중앙선대위 인선을 발표하며 이 후보 직속으로 15개의 위원회를 구성하고, 그 중 지방분권혁신위원회 위원장으로 김 전 의원을 임명했다.

표면적으로는 김 전 의원이 그간 강조해 온 '지방분권' 전문성을 살린 인사지만, 그 배경엔 더 복잡한 정치적 맥락이 깔려 있다는 분석이다.

김 전 의원은 노무현 정부 시절 행정자치부 장관을 지냈고, 경남도지사를 거치며 줄곧 자치와 분권 강화를 외쳐왔다. 하지만 당내 역학 관계에서는 오랫동안 비주류의 길을 걸어왔고, 특히 이 후보와는 몇 차례 대립각을 세웠다.

당장 이번 민주당 대선후보 경선에서 김 전 의원은 이 후보 측이 주도한 경선 룰 변경에 반발해 경선 보이콧을 선언했다.

또한 지난달 이 후보가 지난 2023년 자신에 대한 국회 체포동의안 가결이 민주당 비명계 일부와 검찰의 내통 결과라고 주장하자, "표리부동한 이중성", "국민통합은커녕 분열 조장"이라고 강도 높게 비판하며 공식 사과를 요구하기도 했다.

이런 전력을 고려하면, 김 전 의원의 이번 기용은 단순한 인재 활용을 넘어 당내 통합을 위한 ‘정치적 제스처’로 해석된다. 이 후보가 대선을 앞두고 비명계까지 포용하는 모습을 통해 계파 갈등을 봉합하고 전열을 가다듬으려는 시도라는 것이다. 일각에서는 "김두관을 다시 쓰는 건 당내 비주류에게 주는 신호탄이자, 중도층을 의식한 외연 확장의 상징"이라는 평가도 나온다.

또한, 지방분권은 김 전 의원의 정치적 정체성이기도 하다. 단순한 자리 나눠주기가 아니라, 전문성과 메시지를 동시에 고려한 ‘정밀 타깃 인선’이라는 점에서 이번 인선은 더욱 주목된다. 실제로 김 전 의원은 최근까지도 수도권 과밀과 지역 소멸 문제를 지적하며 자치 분권 확대를 촉구해 왔다.

물론 이 같은 포용이 완전한 신뢰 회복을 뜻하는 것은 아니라는 시각도 있다. 정치권 관계자는 "이번 인선은 협력의 시작이지, 관계 회복의 종착지는 아니다"며 "이재명 후보가 실용적 연대와 당내 갈등 관리라는 두 가지 목표를 동시에 달성하려는 복합적 행보로 봐야 한다"고 했다.

home 안준영 기자 andrew@wikitree.co.kr

NewsC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