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해운대 대우마리나1·2차 재건축, 추진위 설립 전부터 건설사 개입 정황…“이권 개입 우려”
2025-04-25 20:40
add remove print link
- “조합이 설립되기 전부터 건설사를 끌어들이는 시도는 공정성과 투명성을 훼손"

[전국=위키트리 최학봉 선임기자] 부산 해운대구 우동 대우마리나1·2차 아파트 재건축 사업을 앞두고 재건축 추진준비위원회(이하 '추진준비위')가 주민 설명회에 건설사를 참여시켜 건설사와의 유착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주민들에 따르면 대우마리나1ㆍ2차 아파트 재건축 추진위(이하 '추진위')가 아직 공식적으로 출범하지도 않았는데도 '추진준비위'에서 건설사들을 접촉하거나 설명회를 추진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재건축 사업의 투명성과 절차 정당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추진준비위'는 4월25일 오후 7시 관리사무소 2층에서 열리는 추진준비위 설명회에 현대건설이 참여한다며 입주민들의 참석을 독려하는 내용의 플래카드를 아파트 곳곳에 내걸었다.
주민 A 씨는 “건설사는 정식 조합이 설립된 후 조합원 총회를 통해 선정하는 것이 원칙인데 아직 추진위도 구성되지 않은 상황에서 건설사를 참여시켜 설명회를 열겠다는 것은 절차에 정당성이 결여된다”며 우려를 나타냈다.
통상적으로 재건축 추진위 설립부터 조합 설립까지는 3~4년의 시간이 소요되며 이후 조합원들의 총회를 통해 건설사가 선정된다.
하지만 대우마리나1·2차 아파트에서는 이러한 절차가 생략된 채 건설사들과의 접촉이 먼저 이루어지면서 일부에서는 “초기 단계부터 이권 개입을 시도하려는 것 아니냐”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부산지역 정비사업 전문가 B 씨는 “조합이 설립되기 전부터 건설사를 끌어들이는 시도는 공정성과 투명성을 훼손할 수 있으며 이후 조합원 간 갈등의 원인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정비업계 관계자들에 따르면 최근에는 과거 조합 방식의 재건축 과정에서 각종 비리와 갈등이 빈번하게 발생하면서 금융감독원의 관리·감독을 받는 신탁방식 재건축에 대한 선호가 높아지고 있는 추세다.
신탁방식은 사업의 투명성을 높이고 일정 지연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재건축을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는 가운데, 대우마리나1·2차 단지의 입주민들은 향후 추진위 구성과 재건축 방식에 대해 신중하고 투명한 논의가 이뤄져야 한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