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는 우리 곁의 현실”…임달희 의장, 사전 예방정책 강화 촉구

2025-04-21 11:18

add remove print link

읍면 어르신 인지 훈련 격차 지적…운영 기간 확대 필요성 제기
“치매안심센터 수용 한계 우려…40대부터 시작되는 뇌 건강 대응해야”

“치매는 우리 곁의 현실”…임달희 의장 / 공주시의회
“치매는 우리 곁의 현실”…임달희 의장 / 공주시의회

[공주=위키트리 양완영 기자] 공주시의회 임달희 의장이 초고령 사회로 진입한 공주시의 치매 대응 정책에 실효성 있는 사전 예방 체계 마련을 강하게 촉구했다.

임 의장은 지난 18일 열린 제258회 임시회 제2차 본회의 5분 자유발언에서 “공주시 전체 인구 중 65세 이상 노인이 30%를 넘어섰고, 치매 진단자 수는 3천 명을 초과했다”며 “치매는 더 이상 특정 계층의 문제가 아닌, 우리 모두의 삶에 직결된 현실”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본인 또한 경도치매 부모를 모시고 있는 입장에서 이 문제를 남 일로 느끼지 않는다”고 말했다.

치매안심센터의 전수조사와 고위험군 발굴 등 기존 정책의 성과를 평가하면서도, 읍면지역 어르신들의 인지 훈련 접근성이 낮다는 점을 지적했다. “동 지역은 1년 동안 프로그램이 운영되지만, 읍면은 6주에 그쳐 지역 간 격차가 존재한다”고 문제를 짚었다.

임 의장은 또 “뇌 노화는 40대부터 시작되기 때문에 중장년층을 대상으로 한 사전 인지 건강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며 “치매가 진단된 이후의 대응도 필요하지만, 증가 추세에 비춰볼 때 현재 치매안심센터만으로는 한계가 있다”고 우려했다.

끝으로 그는 “공주시가 시민의 삶의 질 향상이라는 목표 아래 실질적인 인지 개선 활동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관련 기관·단체와 협력해야 한다”며 “특히 읍면 어르신들이 소외되지 않도록 인지 훈련 교실을 확대하고 균등한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행정적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home 양완영 기자 top0322@wikitree.co.kr

NewsC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