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천 전투기 오폭 사고, 배상액 조율 난항…주민 “600억 달라” 요구
2025-04-17 12:20
add remove print link
공군 오폭 사고 관련 배상액 간극 커
지난달 6일 경기도 포천시 승진과학화훈련장 인근에서 발생한 공군 전투기 오폭 사고와 관련해 정부 배상안과 지역 요구 사이의 간극이 크다.

포천시가 요구한 배상액은 약 600억 원, 정부가 제시한 금액은 100억 원 수준에 그쳐 갈등이 이어지고 있다.
이 사고로 민간인 38명(중상 2명, 경상 36명)과 군인 14명이 다쳤으며, 총 196개 동의 건물과 차량 16대가 파손됐다. 국방부 조사본부는 지휘 및 안전통제 부실의 책임을 물어 부대장 2명을 형사입건했으며, 사고 직후 조종사 2명도 업무상과실치상 등의 혐의로 입건됐다.
군은 최근 손해사정업체 H사와 계약을 맺고 피해 산정 절차에 착수했다. 이 업체는 과거 연평도 포격전과 동탄 페타폴리스 화재 사건 등 대규모 피해보상에 참여한 이력이 있다. 이번 사고는 공무원인 조종사가 훈련 중 좌표를 잘못 입력해 발생한 사고로, 국가배상법에 따라 손해배상이 가능하다는 입장이다.

피해 주민은 신체 및 정신적 손해, 경제적 손실을 증명할 자료를 갖춰 국방부 특별배상심의회에 신청할 수 있다. 심의회는 이를 토대로 개별 배상 규모를 정하게 된다.
하지만 현재까지 정부가 내놓은 배상 규모는 지역 주민의 기대를 충족하지 못하고 있다. 행정안전부는 100억 원 안팎의 배상을 검토 중인 반면, 포천시는 전체 피해 복구와 주민 이주를 위한 대책 등을 고려할 때 600억 원 이상의 예산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포천시는 지난달 13일 보도자료를 통해 백영현 시장이 정부에 이주대책 마련과 군사시설을 활용한 지역 상생 방안을 건의했다고 밝혔다. 구체적으로는 사격장 통합 운영(기존 3곳 → 1곳), 폐쇄부지 개발을 통한 국가방위산업단지 및 관광시설 조성,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G 노선 국가철도망 계획 반영 등이 포함됐다.
일각에서는 사고와 직접 관련 없는 지역 현안이 협상에 포함되면 배상 절차가 장기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박정수 이화여대 행정학과 교수는 “군은 사고 책임에 따른 정당한 보상과 피해 지원에 집중해야 한다”며 “피해 주민도 가능한 한 객관적인 기준에 근거해 요구해야 배상이 지연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어 “배상 재원이 납세자의 세금인 만큼, 양측 모두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