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이 심각하게 뒤덮였다... 오늘(13일) 절대 창문 열면 안 된다

2025-04-13 11:44

add remove print link

외출할 땐 마스크 착용 필수

글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AI 툴로 제작한 이미지.
글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AI 툴로 제작한 이미지.
13일 아침부터 황사가 한반도에 유입되며 전국적으로 공기 질이 악화하고 있다. 전날 발해만 북서쪽에서 시작된 황사가 서해안을 통해 들어와 오전 10시 기준 서울, 충남 홍성, 인천 등지에서 관측됐다.

황사는 모래와 먼지로 이뤄진 미세한 입자들이 바람에 실려 멀리 이동하는 현상이다. 주로 몽골 고비사막과 중국 북부 황투고원, 내몽골 지역의 건조한 사막과 황무지에서 발생한다. 강한 바람이 이 지역의 흙과 먼지를 하늘로 띄우면, 상층 바람을 타고 수천 킬로미터를 날아 한국, 일본 등 동아시아 지역까지 영향을 미친다.

황사는 사람 건강에 여러모로 해롭다. 황사에 포함된 미세먼지(PM10)는 코와 기관지를 자극해 호흡기 질환을 유발하거나 악화시킬 수 있다. 특히 천식, 만성폐쇄성폐질환(COPD) 환자나 노약자는 증상이 심해질 가능성이 크다. 황사 먼지에는 중금속, 박테리아, 곰팡이 같은 오염물질이 섞여 있어 알레르기성 비염이나 결막염을 일으킬 수도 있다. 장기적으로는 폐 기능 저하와 심혈관 질환 위험을 높인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외출 시 마스크 착용, 실내 환기 자제, 물을 자주 마시는 것이 황사 피해를 줄이는 방법으로 권장된다.

오전 10시 기준 미세먼지(PM10) 1시간 평균 농도는 서울 128㎍/㎥, 인천 141㎍/㎥, 경기 129㎍/㎥, 충남 107㎍/㎥, 전북 81㎍/㎥, 제주 96㎍/㎥로 서쪽 지역을 중심으로 ‘나쁨’ 수준을 기록했다. 경기 시흥 시화산단 측정소에서는 미세먼지 농도가 223㎍/㎥까지 치솟아 ‘매우 나쁨’ 기준(151㎍/㎥)을 크게 넘었다. 몽골 남부와 중국 북부에서 추가 황사가 발생하며 14일까지 영향이 이어질 전망이다. 전국이 황사로 뒤덮이며 대기 질이 더 나빠질 가능성이 크다.

이 와중에 중부지방을 중심으로 강한 비바람이 몰아치고 있다. 오전 10시 30분 기준 수도권과 강원 내륙·산지에는 시간당 5㎜ 미만, 1㎜ 내외의 비가 산발적으로 내리고 있다. 기온이 낮은 지역에선 눈이 섞여 내리기도 했다. 서울, 경기 고양·양주·동두천·시흥 등지에서는 대기 불안정으로 지름 5㎜ 미만의 싸락우박이 떨어졌다. 전날 정오부터 이날 오전 10시까지 누적 강수량은 제주 한라산 진달래밭 129.0㎜, 경남 창원 54.9㎜, 전남 완도 48.5㎜, 울산 35.0㎜, 부산 33.5㎜, 전남 목포 25.0㎜, 서울 18.5㎜, 대전 17.3㎜로 집계됐다.

강원 내륙·산지에는 눈이 제법 쌓였다. 전날 오후 11시부터 이날 오전 10시까지 화천 광덕산 10.9㎝, 홍천 아홉싸리재 7.9㎝, 철원 외촌 6.3㎝, 횡성 둔내 6.3㎝의 적설이 기록됐다. 서울은 한때 0.6㎝, 경기 동두천 1.6㎝, 파주 1.2㎝의 눈이 쌓였다. 황사와 비, 눈이 섞이며 도로가 미끄러운 곳이 많아 교통안전에 주의가 필요하다.

강풍은 전국에 휘몰아치고 있다. 오전 10시 기준 최대 순간풍속은 경북 울진 온정면 28.9m/s(시속 104㎞), 울릉도 27.2m/s(시속 98㎞), 인천 옹진 소청도 26.0m/s(시속 94㎞), 전남 신안 하태도 24.3m/s(시속 87㎞), 강원 대관령 23.6m/s(시속 85㎞), 전남 여수 거문도 20.7m/s(시속 75㎞), 강원 강릉 구정면 20.7m/s(시속 75㎞), 제주공항 17.7m/s(시속 64㎞), 경기 시흥 신현동 17.3m/s(시속 62㎞), 충남 태안 북격렬비도 17.3m/s(시속 62㎞), 충남 예산 원효봉 14.8m/s(시속 53㎞)를 기록했다. 해안과 내륙 일부 지역은 오후까지, 강원 영동·경북 북동산지·경북 북부동해안은 밤까지 순간풍속 20m/s(시속 70㎞) 이상의 강풍이 불겠다. 산지에서는 순간풍속 25m/s(시속 90㎞)를 넘길 정도로 바람이 거세 안전사고 위험이 크다.

비와 눈은 전남은 오후까지, 수도권·강원 내륙·산지·충청·전북·경북 서부내륙·경북 북동내륙·경북 북동산지는 밤까지 이어졌다가 그치기를 반복하겠다. 추가 강수량은 5㎜ 내외 또는 그 이하로 많지 않겠다. 14일에도 전국적으로 비나 눈이 내릴 전망이다. 지역별 강수량은 경기 동부·강원 내륙·산지·충북·광주·전남·영남 5~20㎜, 서울·인천·경기 서부·강원 동해안·대전·세종·충남·전북·제주 5~10㎜, 서해5도·울릉도·독도 5㎜ 내외로 예상된다. 강원 산지에는 1~5㎝, 경기 북동부와 경북 북동 산지에는 1㎝ 안팎의 눈이 더 쌓일 수 있다.

황사의 영향으로 실외 활동은 최소화하는 게 좋다. 특히 호흡기나 심혈관 질환이 있는 사람은 외출을 삼가고, 외출 시에는 황사 전용 마스크(KF94 이상)를 착용해야 한다. 실내에서는 공기청정기를 사용하고, 창문을 닫아 황사 유입을 막는 게 바람직하다.

황사는 농작물에도 피해를 줄 수 있다. 농가에서는 비닐하우스 점검과 작물 보호에 신경 써야 한다. 이번 황사는 14일 밤까지 영향을 미친 뒤 점차 약화될 전망이지만, 추가 황사가 유입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어 당분간 대기 질에 주의가 필요하다.

home 채석원 기자 jdtimes@wikitree.co.kr

NewsC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