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 데이터센터 유치에 우려 확산…“효과 부풀리기, 안전성 검토는 뒷전”
2025-04-10 17:39
add remove print link
이순열 의원 “도심 한복판 혐오시설 될 수도…사전 설명과 검토 필수”
공실 해소·세수 효과 ‘과장’ 지적…주민 2만5천명 생활권 안전성 논란

[세종=위키트리 양완영 기자] 세종시가 최근 오케스트로클라우드와 체결한 데이터센터 건립 투자협약을 두고 지역사회에서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특히 시민 안전성과 관련된 충분한 검토 없이 사업이 속전속결로 진행됐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지난 3월 25일 세종시와 오케스트로클라우드는 어진동 중심상업지역 내 공실 상가에 데이터센터를 구축하는 내용의 투자협약을 체결했다. 시는 이 협약을 통해 고질적인 상가공실 문제를 해소하고, 고용 창출과 연간 34억 원의 지방세 수입 증가 효과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세종시의회 이순열 의원(더불어민주당, 도담·어진동)은 10일 이 같은 시의 설명에 강하게 반박하고 나섰다. 이 의원은 “해당 건물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퇴거하기 전인 2023년 5월에 이미 데이터센터 용도로 용도변경 승인이 난 상태였다”며 “공실 해소 효과를 강조한 시의 설명은 사실과 맞지 않다”고 지적했다. 이어 “해당 업체는 올해 8월에 신설된 기업으로, 고용 창출이나 세수 효과에 대한 구체적인 자료 없이 시가 과도하게 홍보에 나서고 있다”고 덧붙였다.
특히 이 의원은 시가 제출한 관련 자료들 대부분을 ‘비공개’로 처리하고 있다는 점을 문제 삼았다. 그는 “공개되어야 할 중요사항들이 ‘비밀’이라는 이유로 은폐되고 있다”며 “협약서에 시민 안전이나 지역사회 환원을 위한 조항이 빠져 있어, 시가 업체의 입장을 대변하고 있는 것 아니냐는 의심까지 든다”고 비판했다.
데이터센터 유치 예정지는 정부세종청사와 가까운 중심상업지역으로, 반경 1km 이내에 약 2만5천 명의 주민이 거주하고 6개 학교가 위치한 밀집지역이다. 이 의원은 “전국적으로도 데이터센터는 전자파, 열기, 소음 등 유해성이 우려되어 외곽 공업지역에 설치하는 게 일반적”이라며 “세종시는 오히려 도심 한가운데에 위치시키고 있다”고 우려를 표했다.
또한 그는 “시민에게 유해성에 대해 충분히 설명하고 납득할 만한 과학적 근거를 제시하는 과정 없이 사용승인을 진행해서는 안 된다”며 “데이터센터가 혐오시설이라는 낙인이 찍히지 않도록 시가 선제적으로 소통하고 안전성 검토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현재까지 시민과의 대화나 설명회 등은 이뤄지지 않았으며, 시설 규모나 영향에 대한 명확한 자료도 공개되지 않은 상황이다. 시민 안전과 신뢰 확보가 선행되어야 할 행정 절차가, 투자유치 실적에 밀려 뒷전으로 밀린 것 아니냐는 지적이 확산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