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산불 사태 때 할머니들 업고 뛴 인도네시아 의인 3명에게...
2025-04-06 14:29
add remove print link
정부, 주민 수십명 구한 의인들에게 특별체류자격 부여

정부가 초대형 산불 속에서 주민을 들쳐 업고 대피시킨 인도네시아 국적자 3명에게 특별체류자격을 부여했다. 아울러 이번 산불로 집을 잃은 이재민을 위해 임시 조립주택 1460동도 공급하기로 했다. 해당 주택은 무상으로 제공되고 최대 2년까지 거주할 수 있다.
이한경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차장은 6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경북·경남·울산 지역의 산불 대응을 위한 중대본 15차 회의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을 발표했다. 그는 “자신의 안위를 돌보지 않고 이웃의 생명을 구한 분들에게 깊이 감사한다”며 특별기여자 체류자격 부여 배경을 설명했다. 체류자격을 받은 인도네시아 국적자 3명은 산불이 번지는 와중에 할머니 등 노약자들을 업고 대피시킨 공로를 인정받았다. 이들 중 수기안토 씨는 지난달 25일 경북 영덕군에서 강풍을 타고 급속히 확산된 산불이 마을로 덮치자 주민 수 십 여명을 업고 부축해 마을 방파제로 구조했다.
정부는 산불 피해로 삶의 터전을 잃은 이재민들의 주거 안정을 위해 조립주택 1460동을 우선 발주한다. 이를 위해 지자체 수요조사와 현장 컨설팅을 거쳤다. 이르면 다음 주부터 본격적인 공급이 이뤄진다. 이한경 차장은 “지자체가 임시 조립주택과 관련된 경험이 부족한 상황이기 때문에, 행정안전부는 해당 분야에 경험이 풍부한 전문가들로 자문단을 꾸려 부지 선정, 기반공사, 제작과 설치 전 과정에 걸쳐 컨설팅을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조립주택은 무상으로 제공되며, 이재민들은 최대 2년간 거주할 수 있다. 다만 조립 방식 특성상 단열이나 편의시설 면에서 부족함이 있을 수 있다.
정부는 산불로 인해 지반이 약해진 지역에 대한 위험 대비 대책도 병행하고 있다. 이한경 차장은 “장마철이 본격화되기 전까지 산사태, 비탈면 붕괴 같은 토사재해에 대한 대응도 차질 없이 준비하겠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 행정안전부는 국토교통부, 산림청, 지자체 전문가들로 태스크포스를 구성해 관계부처 합동으로 토사재해 최소화 대책을 마련할 예정이다.
산림청은 지난달 28일부터 29개 팀 58명을 투입해 산사태 우려 지역에 대한 긴급 진단을 진행 중이며, 이 결과를 바탕으로 6월 말까지 방수포 설치 등 응급복구 작업을 추진한다.
이한경 차장은 중앙합동지원센터 운영 현황도 소개했다. 지난달 27일부터 운영에 들어간 이 센터는 현재까지 총 1723건의 이재민 민원을 접수했으며, 74개 기관 소속 107명이 상주하며 대응하고 있다. 특히 금융위원회가 인력을 추가 파견해 피해 주민과 사업장을 위한 금융·보험제도 관련 안내도 제공할 예정이다.
주민들이 다시 집으로 돌아가 생활하는 데 불편함이 없도록 필수 기반 시설에 대한 응급 복구 작업도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이 차장은 “방송, 통신, 상·하수도 시설에 대한 복구는 이미 마쳤고, 전력 장애에 대한 복구율도 99.9%까지 도달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