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무 이재명에게 유리한 거 아니냐' 부글부글
2025-04-06 09:57
add remove print link
비이재명계 '일반국민 100%' '야권 전체 단일화' 주장
당 지도부는 경선 방식을 두고 내부 논의를 진행 중이다. 현행 경선 규정인 권리당원 50%, 일반 국민 50%로 구성된 국민참여경선 방식을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김윤덕 사무총장은 "경선 일정을 짜보는데 물리적으로 시간이 부족한 게 사실"이라며 "룰은 주어진 것에 맞춰서 할 수밖에 없는 구조라 (변경이) 빠듯하다"고 밝힌 바 있다. 시간 제약 때문에 기존 틀을 크게 바꾸기 어렵다는 것이다.
6일자 뉴스1 보도에 따르면 비명계를 포함한 당내 일부에선 이 같은 분위기에 반발하며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이들은 일반 국민 100% 참여나 모든 야권에 문을 여는 완전 국민 경선제(오픈프라이머리)를 제안한다.
전해철 의원은 뉴스1에 촉박한 경선 일정을 봤을 때 오히려 조금 더 많은 국민이 참여할 수 있는 방식이 좋다면서 현 상황에서는 야권 전체 단일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비명계 관계자도 같은 매체에 국민 정서가 갈라진 상황에서는 경선 과정에서부터 국민통합을 할 수 있는 방식이어야 한다면서 최대한 많은 일반 국민이 참여할 수 있는 방식으로 변경하는 게 적절하다고 주장했다.
비명계 불만은 경선 룰이 이 대표에게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는 데서 나온다. 권리당원 비율이 높을수록 이 대표의 당내 기반이 강하게 반영된다. 반면 일반 국민 참여를 늘리면 ‘반이재명 정서’가 유입되는 등 변수가 커질 수 있다.
민주당은 과거 경선 사례를 참고해 일정을 압축적으로 짜고 있다. 조기 대선 경선 일정과 방식은 다음 주 구체화할 것으로 보인다. 민주당은 당헌 개정, 대선 특별당규 제정, 예비후보 등록, 경선 규정 논의, 선거인단 모집 등을 15일까지 끝낸다는 목표를 세웠다. 예비경선 없이 본경선만 치를 경우 16~27일 전국 4개 권역을 돌며 경선을 진행한다. 2017년 19대 대선처럼 호남, 충청, 영남, 수도권·강원·제주로 나눠 권역별 경선을 하는 방식이 유력하다.
민주당 대선 경선 주자론 여러 인물이 거론된다. 이 대표가 유력 주자인 상황에서 김부겸 전 국무총리와 김동연 경기지사도 참여할 가능성이 있다. 김두관 전 의원은 7일 진보 진영에서 가장 먼저 출마를 선언한다. 김 전 의원은 서울 여의도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출마 의사를 밝힌다. 이광재 전 의원, 박용진 전 의원, 임종석 전 대통령비서실장도 출마를 놓고 고민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일부 인사는 경선이 이 대표에게 유리하게 진행될 수 있다는 우려로 출마를 고심 중이다. 이 대표가 공직선거법 2심에서 무죄를 받으면서 비명계 돌파구가 없어진 상황이다. 무턱대고 출마했다간 이 대표 들러리로 전락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