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전 대통령, 복귀 첫 일정 현충원 참배 준비했었다

2025-04-05 19:27

add remove print link

윤 전 대통령의 복귀 계획 무산, 여권 내부 혼란

용산 대통령실이 탄핵심판 선고 당일 오전까지 윤석열 전 대통령의 복귀를 확신하며 현충원 참배와 대국민담화 준비에 한창이었던 것으로 파악됐다.

윤석열 전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왼) / 대통령실 제공
윤석열 전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왼) / 대통령실 제공

5일 JTBC 보도에 따르면 여권 관계자는 "대통령이 복귀하면 첫 일정으로 현충원 참배를 준비했던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또 윤 전 대통령은 복귀에 대비한 대국민담화 발표와 부처 업무 보고도 준비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헌재에서 재판관 8명 전원 일치로 파면이 결정되자 당혹감을 감추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윤 전 대통령은 지난 4일 헌법재판소의 탄핵 인용 결정에 따라 취임 2년 10개월 만에 파면당했다. 2017년 박근혜 전 대통령의 파면 이후 두 번째다. 선거관리위원회는 60일 이내 대통령 선거를 실시한다.

문 대행은 "피청구인은 헌법 법률을 위반해 계엄을 선포하면서 국가긴급권 남용 역사를 재연해 국민을 충격에 빠뜨리고 정치, 외교, 경제 전반에 혼란을 야기했다"라며 "헌법 질서에 미친 부정적 영향과 파급효과가 중대하므로 피청구인을 파면함으로써 얻는 이익이 대통령 파면에 다른 손해를 압도할 정도라고 인정된다"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재판부 전원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을 선포한다"라며 "피청구인 대통령 윤석열을 파면한다"라고 밝혔다.

이날 윤 전 대통령은 선고기일에 출석하지 않았다. 윤 전 대통령 변호인단은 지난 3일 "혼잡이 우려되는 상황에서 질서 유지와 대통령 경호 문제를 종합적으로 고려했다"라며 불출석을 예고했다.

앞서 국회는 지난해 12월 14일 윤 전 대통령이 12·3 비상계엄 사태를 일으켜 계엄령을 선포한 뒤 군대를 동원해 국회와 중앙선거관리위원회를 점거하고 국회 활동 일체를 막는 포고령을 작성하고 정치인 등의 체포 지시를 내리는 등의 이유로 탄핵소추안을 가결했다.

home 한소원 기자 qllk338r@wikitree.co.kr

NewsC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