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검색어 1위·조회 수 7000만 뷰 넘겨… 윤 전 대통령 파면, 외국서도 관심 쏠렸다

2025-04-04 20:02

add remove print link

윤 전 대통령 파면에 외신 관심 집중

윤석열 전 대통령이 헌법재판소의 탄핵 인용 결정으로 임기를 채우지 못하고 자리에서 물러나면서 외신들의 관심도 집중됐다.

윤석열 전 대통령 사진 / 연합뉴스
윤석열 전 대통령 사진 / 연합뉴스

4일 헌재는 재판관 전원 일치 의견으로 윤 전 대통령에 대한 탄핵소추안을 인용했다. 윤 전 대통령은 2016년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당시 수사를 이끌며 법치주의의 상징으로 떠올랐지만 8년 만에 스스로 ‘헌법 절차’에 따라 권좌에서 물러나게 됐다.

헌재의 탄핵 결정 직후 미국 워싱턴포스트(WP)는 “법치의 수호자 이미지로 각인됐던 윤 전 대통령이 결국 탄핵이라는 전환점을 맞았다”고 보도했다. WP는 윤 전 대통령이 쿠데타 시도 의혹과 비상계엄 검토로 인해 국회에서 탄핵소추를 당했고 헌법재판소의 판단에 따라 자리에서 물러났다는 점에 주목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 역시 4일자 1면에 탄핵 선고 소식을 사진과 함께 비중 있게 다뤘다.

다수 외신은 이번 결정이 한국 민주주의의 회복력과 헌정 질서의 안정성을 보여준다고 평가했다. 영국 가디언은 “한국 민주주의 여정에 중요한 순간으로 기억될 것”이라고 보도했으며 AFP통신은 손병환 미 조지메이슨대 교수를 인용해 “최악의 도전에도 헌정 체제가 살아남았다”고 전했다. 조희경 홍익대 교수는 WP를 통해 “거리의 충돌 없이 헌법 절차로 대통령을 해임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고 분석했다.

그러나 외신들은 한국 사회의 분열과 정치적 혼란이 당분간 지속될 것이라는 우려도 함께 전했다. WP는 수개월간 이어진 정치적 불안이 쉽게 가라앉지 않을 것이며 이념 갈등 역시 더욱 첨예해질 가능성을 제기했다.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은 “보수와 진보가 협치에 실패한 구조적 한계가 지금의 분단 상황을 초래했다”고 진단했다. 블룸버그통신은 계엄 검토 사태와 같은 권력 남용을 막기 위해 한국 정치체제 전반의 개혁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번 탄핵은 주변국의 이목도 집중시켰다. 중국 관영매체 신화통신과 CCTV는 관련 소식을 긴급 속보로 전했고 포털 바이두에서는 ‘윤 전 대통령 파면’, ‘60일 이내 대선’이 주요 검색어 상위권을 차지했다. 중국 SNS 웨이보에선 '윤 전 대통령 파면'과 관련된 검색어가 조회수 7000만 회를 넘겼고 한때 실시간 검색 순위 1위에 오르기도 했다.

한편, 헌재의 결정으로 한국은 60일 이내 조기 대선을 치르게 된다.

home 용현지 기자 gus88550@wikitree.co.kr

NewsC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