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인데 아직도 무허가 판자촌이…드디어 재개발 착수하는 지역

2025-04-01 15:25

add remove print link

설계공모 당선작 공개

서울 강남구 개포동 구룡마을이 약 3800세대 규모의 주거 단지로 재개발된다. 서울시는 구룡마을 도시개발사업의 설계 공모 당선작을 공개하고 본격적인 사업 추진에 나선다고 31일 밝혔다.

서울 강남구 구룡마을의 모습 / 뉴스1
서울 강남구 구룡마을의 모습 / 뉴스1

도시개발의 방향은 청년, 신혼부부, 노년층이 함께 살아가는 자연 친화형 주거 단지다. 완공 목표는 2029년으로 잡혀 있다.

구룡마을은 1970~80년대 강남 지역이 개발되면서 철거민 등 사회적 약자가 모여 형성한 무허가 판자촌이다. 오랜 기간 각종 갈등으로 개발이 지연됐고, 화재나 홍수 등 재해에 취약한 주거 환경이 문제로 지적되어 왔다.

이번 설계 공모에서 당선된 디에이그룹엔지니어링과 행림종합건축사사무소 컨소시엄은 구룡마을을 '자가면역 도시'라는 개념의 미래형 주거 공간으로 제시했다. 이들은 공공주택 기본 및 실시설계권을 확보하게 되며, 설계비는 약 154억 원이다. 설계 기간은 총 24개월이다.

서울시는 이 당선작을 토지 이용 계획의 기초로 삼아 기존 개발 계획을 조정할 방침이다. 이에 따라 주택 공급 규모는 기존 3520세대에서 3800세대 수준으로 확대될 예정이다. 특히 저출생 문제 대응을 위한 ‘미리내집’ 주택이 신혼부부 및 예비부부에게 600세대 이상 제공된다.

단지 내부에는 공원, 녹지, 의료 및 연구시설, 교육시설 등이 함께 조성될 계획이다. 도심과 단절된 지역을 주변과 연결하여 상생 마을로 탈바꿈시키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초등학교 1곳, 근린공원, 소공원, 주민 편의시설 등도 포함된다.

구룡마을 도시개발사업의 보상비만 약 1조 원에 달하며, 현재 토지 및 지장물 소유자 대상 협의 보상 절차는 마무리 단계다. 서울시는 보상 절차를 올해 상반기까지 완료하고, 하반기부터는 빈집 중심으로 부분 철거에 나설 예정이다.

설계공모 당선작 조감도 / SH 공사
설계공모 당선작 조감도 / SH 공사

2023년 11월 말 기준으로 전체 1107세대 중 736세대가 선이주를 완료해 이주율은 약 66.5%다. 나머지 371세대 가운데 실제 거주 중인 206세대에 대해서는 이주를 독려 중이다.

서울시는 2023년 5월부터 임시 이주 신청자를 대상으로 임대 보증금을 전액 면제하고, 임대료 감면율도 40%에서 60%로 확대했다. 차상위계층 및 기초생활수급자는 전액 감면된다. 이 조치는 구룡마을 내 취약계층의 주거 안정을 위한 것이다.

개별 이주를 하지 않은 626세대는 송파 헬리오시티, 디에이치퍼스티어아이파크 등 인근 행복주택으로 이주를 마쳤다.

김창규 서울시 균형발전본부장은 보상과 이주 절차를 빠르게 진행해, 주거와 녹지, 교육 인프라를 고루 갖춘 고품질 주거 환경을 조성하겠다고 밝혔다.

home 김지현 기자 jiihyun1217@wikitree.co.kr

NewsC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