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세가 압도적… '폭싹 속았수다' '보물섬' 싹 다 제치고 1위 휩쓴 작품

2025-04-01 09:52

add remove print link

4월 첫재 주 콘텐츠 랭킹 1위의 주인공은?

4월 첫째 주 콘텐츠 시장에서 압도적인 기세를 보이며 1위 자리에 오른 작품이 있다.

'임영웅│아임 히어로 더 스타디움' 스틸컷. / CJ 4DPLEX, CGV ICECON 제공
'임영웅│아임 히어로 더 스타디움' 스틸컷. / CJ 4DPLEX, CGV ICECON 제공

쟁쟁한 영화, 드라마들을 모두 제치고 1위 자리에 등극한 작품은 다름 아닌 '임영웅ㅣ아임 히어로 더 스타디움'이다.

1일 키노라이츠가 공개한 4월 1주차(3/24~3/30) 통합 콘텐츠 랭킹에 따르면 '임영웅ㅣ아임 히어로 더 스타디움'은 공개 2주 만에 주간 콘텐츠 랭킹 정상을 되찾으며, 쟁쟁한 신작들을 모두 제쳤다.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폭싹 속았수다’, SBS 금토드라마 ‘보물섬’ 등의 강세 속에서도 굳건히 팬덤의 화력을 입증했다.

'임영웅ㅣ아임 히어로 더 스타디움'은 2024년 5월 서울월드컵경기장에서 이틀간 진행된 임영웅의 대형 콘서트를 실황으로 담은 작품이다. 양일간 10만 명의 관객을 동원하며 현장 열기만큼이나 뜨거운 화제를 낳았고, 이후 OTT 공개와 동시에 팬들의 지속적인 관심과 사랑을 받으며 콘텐츠 통합 순위에서 상위권을 유지해왔다. 이번 순위에서도 그 영향력을 다시 한 번 입증했다.

2위는 넷플릭스 드라마 '폭싹 속았수다'가 차지했다. 제주를 배경으로 한 이 작품은 '요망진 반항아' 애순과 '팔불출 무쇠' 관식의 삶을 사계절 흐름에 맞춰 그려낸 독특한 서사로 주목받았다. 지난달 28일 4막 구성의 마지막 이야기를 끝으로 대장정을 마무리했고, 결말에 이르러 "용두용미"라는 평가 속에서 국내외 시청자들의 호평을 끌어냈다.

3위는 SBS 금요 미니시리즈 '보물섬'이다. 2조 원의 정치 비자금을 해킹한 주인공 '서동주'가 자신을 파멸시킨 절대 악과 맞서 싸우는 복수극을 중심으로 전개되는 이 드라마는, 첫 방송부터 전국 시청률 6.1%를 기록하며 주목을 받았다. 이후 3주 연속 두 자릿수 시청률을 유지하며 강력한 시청자 몰입도를 이어가고 있다.

'임영웅│아임 히어로 더 스타디움' 스틸컷. 가수 임영웅. / CJ 4DPLEX, CGV ICECON 제공
'임영웅│아임 히어로 더 스타디움' 스틸컷. 가수 임영웅. / CJ 4DPLEX, CGV ICECON 제공

4월 첫째 주 주간 콘텐츠 랭킹에서 '임영웅ㅣ아임 히어로 더 스타디움'이 2주만에 1위를 탈환하였다. / 키노라이츠 제공
4월 첫째 주 주간 콘텐츠 랭킹에서 '임영웅ㅣ아임 히어로 더 스타디움'이 2주만에 1위를 탈환하였다. / 키노라이츠 제공

4위는 KBS2의 '신데렐라 게임'이다. 원수에게 가짜 딸로 이용당한 여주인공이 복수를 다짐하고, 그 과정 속에서 진정한 치유와 성장을 겪어가는 이야기를 담고 있다. 최근 회차에서는 '구하나'의 본격적인 복수가 시작되면서 전개가 급물살을 탔고, 지난 3월 27일 방영한 80회에서는 12.6%라는 자체 최고 시청률을 기록하며 저력을 드러냈다.

5위는 디즈니+ 오리지널 시리즈 '하이퍼나이프'다. 박은빈과 설경구가 출연한 이 작품은 천재 의사 '세옥'과 그를 나락으로 몰아넣은 스승 '덕희' 사이의 대립을 중심으로 펼쳐지는 메디컬 스릴러다. 박은빈에게는 첫 OTT 도전이자 첫 메디컬 장르인 이 작품은 공개 이틀 만에 디즈니+ 콘텐츠 중 시청률 1위를 기록하며 이목을 집중시켰다.

이외에도 상위권에는 넷플릭스를 통해 지난 3월 25일 재공개된 '약한영웅 Class 1'이 6위에 이름을 올렸으며, MBC '언더커버 하이스쿨', JTBC '협상의 기술', 영화 '승부', Mnet 예능 '커플팰리스 2'가 각각 7위부터 10위를 차지했다.

해당 순위는 콘텐츠 통합 플랫폼 키노라이츠에서 집계한 결과로, 약 10만 건 이상의 영화·드라마·TV 예능 데이터를 기반으로 산출된다. 키노라이츠는 통합 콘텐츠 랭킹뿐 아니라, 넷플릭스, 티빙, 디즈니+, 쿠팡플레이 등 국내외 주요 OTT 플랫폼별 랭킹 차트도 함께 제공하며 미디어 소비 트렌드 분석 지표로 활용되고 있다.

유튜브, 임영웅
home 권미정 기자 undecided@wikitree.co.kr

NewsC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