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 대형산불 피해 5개 시군 단체장 긴급 영상회의 개최
2025-03-31 14:12
add remove print link
이재민 보호지원 위한 긴급주거시설인 모듈러 주택 지원 논의
신속한 피해조사를 통해 피해주민 구호 및 보상체계 마련
특별법 제정 추진 상황 공유 및 피해지역 주민구호, 제도개선, 규제완화 등 시군 의견 청취
경북도 1천억 규모‘긴급 지원 특별 추경 예산안’ 31일 도의회 본회의 통과해 확정
[경북=위키트리]이창형 기자=경상북도는 31일 경북 북부지역 대형 산불 피해지역 5개 시군(안동, 의성, 청송, 영양, 영덕)과 부지사-부단체장, 도지사-시장군수 긴급 영상회의를 연이어 개최하며 이재민 보호 및 피해조사 등 현안 사항을 논의했다.
먼저 경북도는 보금자리를 잃은 피해 주민의 주거 문제가 가장 시급하다고 판단하고, 5개 시군과 거주지 인근에 긴급주거시설인 모듈러주택을 설치하고 대피소에 거주하고 있는 주민들을 신속히 옮기는 방안을 논의했다.
경북도는 30일 안동에 모듈러주택 40호를 설치하기 시작했으며 입주를 희망하는 이재민 모두에게 차례대로 모듈러주택을 공급한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경북도는 5개 시군에 주택 피해 상황, 주민 수요조사, 설치 대상 지역 등을 요청했다.
다음으로는 이번 산불로 인한 피해 상황을 신속히 조사하고 국가재난안전관리시스템(NDMS)에 입력하는 방안을 논의했다.
NDMS 입력 기한이 4월 6일까지로 정해짐에 따라 신속한 조사와 결과입력이 보상으로 이어질 수 있게 된다.
그뿐만 아니라 최근 중앙정부를 중심으로 산불 등 재난 대응을 위한 필수 추경이 논의됨에 따라 신속한 피해 상황이 조사되어야 추경에 적절하게 반영할 수 있다. 따라서 경북도는 선제적으로 피해 현황을 빠르게 조사하여 추경에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경북도는 특별재난지역만으로는 5개 시군 45,157ha에 이르는 사상 최대의 산불영향 구역과 시설물 4,462개소 피해라는 미증유의 사태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특별법이 필요하다고 판단하고 특별법 제정을 추진하고 있다.
경북도는 특별법 제정을 통해 산림대전환, 피해자 구호, 제도개선, 규제 완화 등 5개 시군의 특별법 반영을 위한 의견을 청취하고 적극적으로 대응하기로 했다.
이철우 지사는 “이재민의 신속한 구제를 위해 피해조사와 특별법이 반드시 필요하다”며 “5개 시군과 함께 화마와 싸워 복으로 만드는 전화위복(戰火爲福)으로 만들겠다”고 말했다.
한편, 초대형 산불 피해 극복을 위한 경북도 ‘긴급 지원 특별 추경 예산안’이 31일 도의회 본회의를 통과해 확정됐다.
초대형 산불 피해 긴급 지원 특별예산 1,000억원은 피해 주민 긴급재난지원 820억원, 산불피해 긴급 복구비 180억원으로 구성되었으며, 2025년 당초예산 편성 이후 정부로부터 교부된 국고 및 특별교부세 지원사업 44건 1,229억원도 예산 규정에 따라 함께 편성됐다.
이번 초대형 산불 피해 주민 긴급재난지원금은 피해 주민들의 빠른 생활 안정과 심리적 회복을 위해 5개 피해시군 주민 27만 3천여명을 대상으로 1인당 30만원씩 지급될 예정이며, 이와 함께 피해지 잔해철거, 안전조치 및 공공 공영시설 긴급 복구 등을 위한 예산도 180억원이 편성되어 피해 시군에 신속하게 지원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