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분 급히 대피하다 참변…당국 뒷북 대응에 책임 전가 논란 제기
2025-03-26 10:20
add remove print link
“최대한 노력해 대부분 주민을 대피시켰지만...”
최근 발생한 대형 산불로 인한 사망 피해자 상당수가 갑작스러운 대피 중 변을 당한 가운데 재난 당국의 뒷북 대응이 원인으로 지적받고 있다.

지난 22일 시작된 산불로 26일까지 18명이 숨지는 등 인명·시설·문화유산 피해가 잇따른 것과 관련해 당국의 미숙한 대처가 비판받고 있다.
이날까지 사망한 피해자 상당수는 갑작스럽게 대피하던 중 차 안이나 도로 등에서 숨진 것으로 확인됐다. 고령 어르신들의 경우 재난 문자가 발송됐지만 자력 대피가 어려웠던 것으로 전해졌다.
이날 경북 북부권 주민과 지자체 등에 따르면 경북 북동부 4개 시군을 순차적으로 덮친 산불의 영향으로 주민들의 대규모 대피 행렬이 이어졌다.
특히 인접 지역에서 산불이 강풍을 타고 번져오던 와중에도 당국이 사전에 주민들의 안전 대피를 적극적으로 돕지 않았던 점이 피해를 늘린 이유로 지목되고 있다.

실제 영양 도로에서는 일행으로 추정되는 남녀 4명이 불에 탄 채 발견됐으며 청송군에서는 70대, 80대 노인 두 명이 자택에서 숨졌다. 안동시에서도 50대, 70대 여성이 주택 마당에서 사망한 채 발견됐으며 청송군에서는 가족과 함께 트럭을 타고 대피하던 70대 여성이 교통사고로 갈비뼈 골절 등 중상을 입고 병원으로 이송됐다.
이처럼 대부분의 사망자나 부상자들은 사전 대피를 하지 못한 상황에서 갑작스럽게 탈출하다 변을 당한 것으로 파악된다. 당국이 재난 상황에서 제때 충분한 대처를 하지 못했다는 비판이 나오는 이유다.

이뿐만 아니라 산불이 지자체 경계를 넘어오기 직전 발송된 긴급재난문자도 주민들의 혼란을 가중하는 데 한몫했다.
영덕에서는 이날 새벽 주민 104명이 대피하던 중 항구와 방파제에 고립됐다가 울진 해경에 구조되기도 했다. 또 대피 장소를 안내한 지 5분도 채 지나지 않아 장소가 변경되기도 했다.
또한 이날 뉴스1 보도에 따르면 전날 의성 산불이 안동 시내까지 넘어오자 공무원들은 집 안에 남아 있는 주민들을 데리고 나오는 강제 집행을 진행했다. 이 과정에서 안동 화재 피해가 가장 컸던 마을 화계2리에 거주하는 임 모 씨가 거동이 불편해 집 밖으로 나오지 못한다는 신고가 접수됐다. 하지만 경찰 공무원과 행정 공무원은 "119에 신고하는 게 빠르다",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다"라며 서로에게 책임을 미뤘다고 매체는 전했다.
이와 관련해 당국의 한 관계자는 "초속 20m가 넘는 강풍이 방향을 바꿔가면서 불고 시야도 (확보) 제로인 급박한 상황이었다"라며 "산불 상황이 시시각각 변하면서 대피 장소도 변경된 것"이라고 이날 밝혔다.
그러면서 "최대한 노력해 대부분 주민을 대피시켰지만 이 과정에서 돌아가신 분들을 구하지 못한 데에 대해 책임을 통감하고 있다"라고 덧붙였다.

한편 이날 오후부터 전국에는 초속 20m 안팎의 강풍이 다시 불 것으로 예측됐다. 다만 중국 상하이 쪽에서 기압골이 접근해 오면서 이날 늦은 오후 제주와 밤 전남 남해안과 경남 남해안에 비가 내리기 시작해 오는 27일 오후까지 이어질 것으로 관측됐다.
남부지방은 오는 27일 밤, 제주는 오는 28일 아침까지 비가 이어지는 곳이 있겠으며 제주 산지엔 오는 28일 비 대신 눈이 올 수도 있겠다.
하지만 강수량이 많지 않아 산불 확산은 억제될 수 있겠으나 완전 진화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영남 쪽 예상 강수량을 보면 경남 남해안 5~20mm, 부산·울산·경남내륙·경북서부내륙 5~10mm, 대구·경북·울릉도·독도 5mm 미만이다. 다른 지역 강수량도 제주 5~30mm, 수도권·서해·충청·호남 5~20mm, 강원 영서 5~10mm, 강원 영동 5mm 미만 정도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