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화폐 파이코인, 최근 상승세 보이며 반등 조짐... 가장 큰 걸림돌은?

2025-03-20 17:22

add remove print link

20일 오후 기준 전일 대비 2% 넘게 상승

암호화폐(가상자산·코인) 파이코인(PI)이 최근 상승세를 보이며 반등 가능성을 키우고 있다.

가상화폐 시장이 전반적으로 회복세를 보이는 가운데, 파이코인도 2% 가까이 상승하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암호화폐(가상자산·코인) 파이코인(PI) / Bilal Hafeez3249-shutterstock.com
암호화폐(가상자산·코인) 파이코인(PI) / Bilal Hafeez3249-shutterstock.com

그러나 오는 21일(현지 시각) 예정된 대규모 토큰 잠금 해제가 가격 변동성을 야기할 가능성이 있어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

전반적인 시장 회복과 함께 파이코인도 주요 이정표를 앞두고 있다.

특히 소셜미디어 팔로워 수에서 도지코인(DOGE)에 근접하며 커뮤니티 성장세를 입증하고 있다.

코인게이프 등에 따르면 익명의 분석가 김 H. 웡(Kim H. Wong)은 이번 상승세가 시장 변동성과 토큰에 대한 관심 증가에 기인한 것으로 보지만, 프로젝트팀에서 주요 발표가 없었던 만큼 상승세가 지속되지 못하고 높은 변동성을 보인다고 분석했다.

그는 파이코인이 본격적인 상승 국면에 진입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호재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최근 파이코인 커뮤니티에서는 프로젝트팀의 침묵에 대한 불만이 나오고 있다.

그러나 웡은 몇 가지 요인이 앞으로 파이코인의 가격을 끌어올릴 수 있다고 전망했다. 주요 거래소 상장, 상업적 제휴 발표, 생태계 확장 등이 가격 상승을 견인할 수 있는 요소로 꼽혔다.

특히 파이코인의 사용 사례 확대가 가격 상승을 뒷받침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미국의 한 부동산 업체가 파이코인을 결제 수단으로 채택하면서 실물 경제에서의 활용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파이코인 도메인 경매가 진행되면서 디지털 자산으로서의 가치를 높이는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파이 브라우저(Pi Browser)에 새롭게 도입된 도메인 탭과 .Pi 도메인 이름 경매는 파이코인 기반 웹사이트, 애플리케이션, 서비스의 디지털 주소로 활용될 가능성이 있다. 이는 파이코인가 탈중앙화된 웹(Web3) 생태계로 발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도메인 경매는 파이코인의 유통량을 줄이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어 장기적으로 가격 상승을 유도할 수 있다. 현재 파이코인의 등록 사용자는 7000만 명에 달하며, 이 중 2000만 명은 신원 인증을 마친 '파이어니어(Pioneers)'로 파이 생태계 성장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웡은 현재가 파이코인을 매수하고 보유하기 좋은 시점일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그는 주요 거래소 상장과 같은 호재가 나오면 파이코인이 급등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20일(한국 시각) 오후 5시 기준 파이코인은 1.16달러를 기록, 하루 동안 약 2.27% 상승했다.

파이코인 팀은 최근 파이어니어들의 보안 강화를 위해 2단계 인증(2FA) 도입을 발표했다. 이 2FA 시스템은 메인넷으로의 원활한 전환을 돕고, 보안 강화를 통해 투자자들의 신뢰를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최근 분석에 따르면 파이코인은 3.14달러까지 상승할 가능성이 있다. 이를 뒷받침하는 요인으로는 토큰 소각(Burn) 메커니즘, 거래소 상장, 잠재적인 파이 ETF 출시 등이 거론됐다.

하지만 오는 21일(현지 시각) 예정된 대규모 토큰 잠금 해제는 가격 변동성을 키울 수 있는 요소다. 파이스캔(PiScan) 데이터에 따르면 이날 총 2120만 개의 파이코인이 해제될 예정이며, 이는 약 4239만 달러 규모에 해당한다.

대규모 공급 증가가 시장 심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으며, 향후 12개월 동안 총 16억 개의 파이코인(18억 8000만 달러 규모)이 추가로 해제될 예정이다. 이러한 공급 증가 요인이 가격에 미치는 영향을 상쇄할 만한 다른 호재가 없다면 가격 조정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최근 암호화폐 시장에서는 대규모 토큰 해제가 가격에 미치는 영향이 자주 논의되고 있다. 예를 들어 솔라나(SOL)는 2023년 대규모 락업 해제 이후 단기적인 가격 하락을 겪은 바 있다. 그러나 이후 강력한 네트워크 성장과 생태계 확장을 통해 가격을 회복했다.

전문가들은 파이코인 역시 이와 유사한 흐름을 보일 가능성이 있다고 평가하며, 대규모 공급 증가에 따른 변동성을 줄이기 위해서는 △거래소 상장 △새로운 파트너십 △생태계 확장과 같은 실질적인 호재가 필요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home 방정훈 기자 bluemoon@wikitree.co.kr

NewsC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