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 광산구, '광산복지재단 설립' 내부 합의 시까지 무기한 연기

2025-02-20 17:10

add remove print link

민주적 대화‧토론 통한 공김대 형성 노력 강화

[위키트리 광주전남취재본부 노해섭 기자] 광주시 광산구(구청장 박병규)는 가칭 ‘광산복지재단’ 설립과 관련해 “더 나은 복지 체계라는 시민 요구와 필요성에도 내부 합의가 이뤄지지 않은 상태에서 재단 설립을 추진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판단해 무기한 연기한다”고 밝혔다.

지난해 9월 광산문화예술회관에서 가칭 ‘광산복지재단’ 설립과 관련해 전문가, 주민 의견을 듣는 공청회가 진행됐다.
지난해 9월 광산문화예술회관에서 가칭 ‘광산복지재단’ 설립과 관련해 전문가, 주민 의견을 듣는 공청회가 진행됐다.

광산구는 시민과 복지 현장 종사자 모두가 누리고, 만족할 수 있는 ‘공공복지플랫폼 구축’을 목표로 복지재단 설립을 추진해 왔다.

이를 위해 지난 2022년부터 지역복지 현안을 분석하고, 여러 차례 소통‧협의의 장을 마련해 시민, 복지 종사자, 의회, 전문가 등의 의견을 수렴했다.

사회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해 복지서비스 전달 체계를 개편해야 한다는 오랜 과제를 공론화하고, 본격적으로 풀어보고자 한 광산구 노력에 사회복지 전문가들도 지역 특성과 수요자 욕구에 맞춰 복지서비스 질을 높이는 방안으로 복지재단 필요성을 인정했다.

하지만 여전히 이견이 제기됨에 따라 광산구는 현장의 목소리와 의견을 존중해 내부 합의가 이뤄질 때까지 재단 설립을 무기한 연기하기로 했다.

광산구의회에도 ‘광주광역시 광산구 복지재단설립 운영에 관한 조례안’ 철회를 요청했다.

박병규 광산구청장은 “아무리 필요성이 인정되더라도 충분한 합의와 동의 없이 밀어붙이기식으로 무리하게 재단 설립을 추진할 수 없어 현재 진행 중인 절차를 멈추고, 다양한 이해관계자, 시민 등과 더 많은 대화와 토론을 하기로 결정했다”며 “더욱 폭넓은 민주적 의견 수렴과 더불어 복지 체계와 서비스 질을 높이기 위한 노력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민선 8기 광산구는 찾아가는 경청 구청장실을 통한 경청‧소통 행정, 시민참여형 사회적 대화를 통한 지속가능일자리특구 조성, 시민을 구정 주체로 세우는 동 미래발전계획 수립, 시민 뜻을 반영한 예산 수립과 주민참여예산 확대 등 모든 정책‧사업 추진 과정에서 시민이 주인이 되는 구정을 구현하기 위해 시민의 뜻을 묻고, 반영하는 민주적 절차를 최우선으로 거치고 있다.

home 노해섭 기자 nogary@wikitree.co.kr

NewsC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