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위 치킨, 2위 마라탕...2024년 가장 많이 검색된 '의외의 음식'은 바로
2025-02-19 12:27
add remove print link
2024년 검색량 9,443,059로 전년 대비 상승률 152214% 폭증
2024년 포털 사이트 및 유튜브에서 가장 많이 검색된 푸드 키워드가 알려졌다. 치킨, 김밥, 떡볶이, 돈가스, 김치찌개 등 한국인 소울 푸드를 다 제치고 ‘의외의 음식’이 1위에 올랐다.

소믈리에타임즈 보도에 따르면 소비자 빅데이터를 조사·분석하는 아하트렌드가 푸드 키워드 23,000개의 네이버, 구글, 유튜브 검색 데이터를 조사한 결과, 2024년 한 해 동안 가장 많이 검색된 푸드는 총 9,443,059건 검색된 ‘두바이 초콜릿’으로 알려졌다.
2위는 총 6,597,977건 검색된 마라탕이다. 3위는 치킨(5,392,424건), 4위는 커피(4,877,245), 5위는 김밥(4,620,860), 6위는 샤브샤브(3,939,787), 7위는 닭볶음탕(3,802,845), 8위는 닭가슴살(3,750,163), 9위는 떡볶이(3,618,093), 10위 사과(3,586,671) 순으로 전해졌다. 그 외에는돈가스, 김치찌개 등 한국인에게 친숙한 음식들이 순위에 올랐다.
특히 눈에 띈 것은 전년 대비 검색량 상승률이었다. ‘두바이 초콜릿’은 무려 152214% 폭증해 뜨거운 관심을 입증했다. 마라탕과 치킨은 각각 -13%, -6%로 감소세를 보였다.
23,000개 푸드를 식재료별로 나누어 합산한 검색량도 알려졌다. 어패류, 육류, 곡류 등은 전년 대비 3%씩 감소한 것에 비해 채소류, 콩/두부류, 견과/씨앗류는 전년도에 비해 상승했다. 당류의 검색 급상승은 두바이 초콜릿 인기로 인한 것으로 보이며, 유지류는 땅콩 버터, 아보카도 오일 등 새로운 식물성 지방과 파스타, 막국수 등에 활용돼 인기인 들기름에 대한 관심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고 매체는 전했다.
실제 두바이 초콜릿은 소셜미디어(SNS)에서 입소문을 타며 큰 인기를 끌었다. 국내 편의점 CU에서는 출시 첫날 초도 물량 20만 개가 순식간에 완판되었고, 일부 매장에서는 이 초콜릿을 구매하기 위한 긴 줄이 생기는 '오픈런' 현상까지 발생했다.

이 초콜릿은 두바이의 유명한 디저트 제조업체인 픽스 디저트 쇼콜라티에(Fix Dessert Chocolatier)에서 만든 제품으로, 중동 지역의 전통적인 재료들을 활용한 독특한 맛이 특징이다. 픽스 초콜릿은 중동의 견과류, 말린 과일, 크림 등을 조화롭게 사용하여 그 맛의 깊이를 더했다.
픽스 디저트 쇼콜라티에는 2023년 12월, 아랍에미리트(UAE) 음식 인플루언서와 협업하여 초콜릿 먹방 영상을 제작했는데 폭발적 조회수를 기록하며 전 세계적으로 큰 인기를 끌었다. 국내에서는 피스타치오 크림을 활용한 제품이 '두바이 초콜릿'이라고 불린다. 두바이 초콜릿은 UAE 외에는 배송되지 않기 때문에, 국내 유튜버들이 이를 직접 만드는 영상을 올리며 소비자들의 관심을 더욱 집중시켰다.
두바이 초콜릿을 만드는 방법은 비교적 간단하지만 정성스러운 과정이 필요하다. 먼저, 중동 지역에서 자주 사용되는 얇은 국수인 '카다이프'를 버터에 바삭하게 볶은 뒤, 이를 피스타치오 크림과 잘 섞어 스프레드를 만든다. 그 후 초콜릿을 깔고 그 위에 스프레드를 바른 뒤, 녹인 초콜릿을 올려 냉장고에서 식혀주면 완성된다. 바삭한 식감과 달콤한 맛이 어우러진 게 특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