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경수 “문재인 전 대통령, 유승민·심상정 입각 검토했으나 제안하진 않아”
2025-02-18 11:40
add remove print link
김경수 전 지사가 페이스북 통해 밝인 입장
김경수 전 경남지사가 문재인 전 대통령이 국민의힘 유승민 전 의원과 정의당 심상정 전 대표에 입각 제안을 했었다는 자신의 발언을 정정했다. 그러면서 이들에게 사과의 뜻을 표했다.
김경수 전 지사는 18일 페이스북에 올린 입장문을 통해 이렇게 밝혔다.
김 전 지사는 지난 16일 한 언론과 인터뷰에서 "문 전 대통령도 야당과 협치가 중요하다고 생각해 국민의힘 안철수 의원·유승민 전 의원, 정의당 노회찬·심상정 전 의원, 국민의당 김성식 전 의원에게까지도 내각 참여를 제안했으나 하나도 성사가 안 됐다"라고 말했다.
해당 인터뷰가 알려지자 국민의힘 유승민 전 의원과 안철수 의원 등은 SNS를 통해 이는 사실이 아니라고 부인했다.
김 전 지사는 "한 언론과 인터뷰에서 문재인 정부 당시 야당 정치인들 입각 제안과 관련해 발언한 바 있지만 확인해 본 결과 유 전 의원과 심 전 의원 두 분에 대해선 내부 검토와 논의는 있었으나 직접 제안하지는 않았다"라고 밝혔다.
이어 "노 전 의원과 안 의원, 김 전 의원, 정두언 전 의원, 이종훈 전 의원을 포함한 (당시 야권의) 여러 정치인에게는 직간접으로 제안했으나 끝내 성사되지 못했다고 한다"라고 덧붙였다.
김 전 지사는 "검토와 제안을 구분하지 않고 일괄해서 제안이라고 한 것은 정확하지 않기에 유 전 의원과 심 전 의원에겐 제안이 가지 않았다는 점을 바로잡는다"라며 "유 전 의원과 심 전 의원에겐 정중하게 사과드리고 양해를 구한다"라고 말했다.
이어 "제 말씀의 취지는 문재인 정부 시절 야당 정치인 입각을 통해 우리 정치 수준을 한 단계 높이려는 고민을 했지만 정치구조와 문화의 한계로 뜻을 이루지 못한 경험을 거울삼아 시행착오를 되풀이하지 말자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두 쪽 나다시피 한 국민 간 심각한 갈등을 치유하고 국민 통합을 이루려면 단순히 장관직을 제안하는 방식이 아닌, 정부 출범 때부터 인수위 등 조직에 함께 참여해 정책 협약을 맺고 내각도 공동으로 구성하는 '한국형 연정'이 필요하다는 뜻이었음을 헤아려달라"라고 밝혔다.

다음은 김경수 전 지사 페이스북 글 전문이다.
제가 지난 15일, 한 언론 인터뷰에서 문재인 정부 당시 야당 정치인에게 입각 제안이 있었음을 밝힌 바 있습니다.
문재인 정부는 여야간의 협치 수준을 한단계 높이고 갈등과 대립의 정치를 연대와 협력의 정치로 바꿔보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야당 정치인들의 입각을 추진했습니다. 입각 제안을 검토했던 분들은 대부분 전문성과 정치력을 두루 갖춘 분들이었습니다. 그 분들을 내각에 모셔서 연대와 협력에 기반한 새로운 국정 운영 시스템을 만들려고 했던 것입니다.
사실관계를 다시 확인해보니 당시 문재인 정부는 다수의 야당 정치인들을 입각 제안 대상으로 검토하였고, 그 중 대부분은 실제 직간접으로 제안을 하기도 했습니다. 다만, 유승민 대표와 심상정 대표께는 입각 제안을 논의 단계에서 검토는 했으나, 직접 제안을 하지는 않았다고 합니다. 대신 유승민계로 알려졌던 이종훈 의원에게 입각을 제안했고, 심상정 의원에게 제안하기 전 먼저 노회찬 의원에게 입각을 제안했습니다. 그 외에도 안철수 대표와 김성식 의원, 정두언 의원에게도 직간접으로 제안이 있었으나 실제 입각에는 이르지 못했다고 합니다.
검토와 제안을 분명히 구분하지 않고 말씀드린 것에 대해 유승민 전 의원님과 심상정 전 의원님께는 정중히 사과드리고 양해를 부탁드립니다.
제가 인터뷰에서 말씀드렸던 취지는 문재인 정부 당시 야당 정치인의 입각을 통해 우리 정치의 수준을 한단계 높이려는 고민과 노력이 있었으나 우리 정치구조와 문화의 한계로 인해 뜻을 이루지 못했던 경험을 거울삼아, 앞으로는 그 때의 시행착오를 되풀이하지 말자는 뜻이었습니다.
지금의 두쪽나다시피 한 국민들간의 심각한 갈등을 치유하고 국민통합을 이루어내기 위해서는, 단순히 장관직을 제안하는 방식이 아니라 선거 이후 정부 출범 때부터 인수위(또는 그에 준하는 조직) 단계에 함께 참여해 정책 협의를 통해 협약을 맺고, 그 결과에 따라 내각도 공동으로 구성하는 '한국형 연정'이 필요하다는 뜻에서 드린 말씀이었음을 헤아려 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