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임산부, 구급차 안에서 출산…갑작스런 상황에 준비해야 할 것
2025-02-16 13:35
add remove print link
구급차 안에서 펼쳐진 긴급 출산 드라마
당황할 틈 없이 이뤄진 새 생명의 탄생
제주에서 한 임신부가 구급차 안에서 출산을 했다.
제주소방안전본부에 따르면, 16일 오전 6시 20분쯤 한 남편이 "아이가 나올 것 같다"며 긴급 신고를 했다.
신고를 받은 119구급대는 즉시 제주시 연동의 한 아파트 지하 주차장으로 출동해 임산부 A(44)씨를 구급차에 태웠다.
당시 A씨는 임신 39주 5일째로, 출산이 임박한 상태였다.

구급대원들은 상황을 빠르게 판단하고, 산모의 동의를 얻어 구급차 안에서 출산을 유도했다. 출산 과정에서 탯줄이 아이 목에 감기는 상황이 있었지만, A씨는 오전 6시 33분쯤 구급차 안에서 무사히 딸을 낳고 있다. 산모와 아이는 인근 병원으로 이송됐고 건강에 문제는 없는 걸로 전해졌다.
위의 사례처럼 준비되지 않은 상황에서 갑자기 출산을 하는 경우가 있다. 이럴 때를 대비해 기본 요령을 알아두면 좋다.
출산이 급박하게 진행되면 당황하기 쉽지만, 우선 자신의 상태를 차분하게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출산의 진통이 시작되었고, 물이 터졌거나, 아기가 하강하는 등의 징후가 나타나면 즉각적인 출산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런 경우, 바로 도움을 요청하는 것이 중요하다.
출산이 급박하게 진행되는 상황에서는 혼자서 모든 일을 해결하는 것은 매우 위험할 수 있다. 가까운 사람이나 주변에 도움을 요청한다. 특히 경험이 있는 사람이나, 의료 지식이 있는 사람이 있다면 더 도움이 될 것이다. 병원에 갈 시간이 없거나 구조대가 오기 전이라면, 구조대가 도착할 때까지 상황을 설명하고 응급 처치를 준비한다.

출산을 시작할 때, 안전하고 깨끗한 장소에 위치를 잡는 것이 중요하다. 바닥이 깨끗하고 부드러운 곳에 눕는 것이 좋으며, 불필요한 물건은 치운다. 또한, 출산 후 아기와 산모의 체온을 보호할 수 있는 담요나 옷을 준비한다. 아기가 하강하면서 머리가 나오기 시작할 때는 아기의 몸이 나올 수 있도록 자연스럽게 도와주되, 과도하게 밀거나 당기지 않도록 주의한다. 아기의 목이 고정되지 않도록 신경을 써야 하며, 아기가 나오도록 자연스러운 흐름을 따라야 한다.
출산 직후 아기가 울지 않거나 호흡을 시작하지 않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럴 때는 아기의 입과 코를 깨끗이 닦아주고, 가능한 한 가볍게 두드려서 호흡을 유도한다. 그러나 심각한 상황에서는 전문가의 도움이 절실하다. 아기가 나온 후에는 즉시 아기를 따뜻하게 감싸주고, 깨끗한 천이나 담요로 몸을 덮어준다. 출산 후 태반을 출산하게 되는데, 태반이 완전히 배출될 때까지 주의 깊게 지켜봐야 한다. 만약 태반이 나오지 않으면 출혈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즉시 의료적 지원을 요청해야 한다.
출산 후 출혈이 있을 수 있다. 출혈을 관리하려면 자궁을 마사지하여 수축을 유도하고, 생리대나 깨끗한 천을 이용하여 출혈 부위를 압박한다. 만약 출혈이 심해지거나 멈추지 않으면 즉시 응급 구조대에 도움을 요청해야 한다.
출산은 신체적인 변화뿐만 아니라 심리적으로도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출산 중이나 직후에 불안하거나 두려운 감정을 느낄 수 있으므로, 최대한 차분하게 심리적인 안정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 출산을 병원 이외의 장소에서 진행해야 할 상황은 예기치 않게 발생할 수 있지만, 무엇보다도 빠른 시간 내에 전문가의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출산 후에는 반드시 병원으로 이송되어 전문적인 후속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