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 좋아하는 건 똑같은데 신동엽은 멀쩡하고, 권상우는 아프다 (이유)

2025-02-13 11:02

add remove print link

음주와 건강, 개인차 존재해
기저질환이 좌우하는 술의 위험성

똑같이 술을 좋아하는 신동엽과 권상우, 건강 상태에는 왜 차이가 있을까.

술을 거의 매일 먹기로 알려진 신동엽은 건강 상태가 비교적 양호하다.

반대로 권상우는 간 혈관종 제거 수술을 받았다.

두 사람의 차이는 바로 기저질환이다. 권상우는 간 질환 관련 가족력이 있다.

(왼쪽부터) 신동엽, 권상우 / 뉴스1
(왼쪽부터) 신동엽, 권상우 / 뉴스1

이 사례에서 보여지듯이 고혈압, 당뇨병, 복부 비만이 있는 사람들은 동일한 수준으로 음주를 하더라도 간 질환에 걸릴 위험이 더 크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되었다. 이는 미국 서던 캘리포니아 대학교 Keck 의대 연구진이 국제 학술지 '임상 위장병학과 간장학'에 게재한 논문을 통해 밝혀진 내용이다.

연구에 따르면, 매일 일정량의 알코올을 섭취하는 사람들 중 고혈압, 당뇨병, 비만(허리둘레 남성 40인치, 여성 35인치 이상)이 있는 경우 그렇지 않은 사람들보다 간 질환 발병 위험이 최대 2.4배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기저질환들은 간에 지방이 축적되는 원인이 되며, 결국 간 섬유화로 이어질 수 있다. 간 섬유화가 진행되면 간 조직에 흉터가 생기면서 기능이 저하되고, 심할 경우 간경화, 간부전, 간암 등으로 악화될 가능성이 높다.

연구진은 미국 국민 건강·영양 조사(NHANES) 데이터를 활용하여 4만1000명의 건강 상태를 분석하였다. 그중 약 2200명을 과음자로 분류하였는데, 여기서 과음자는 하루 순수 알코올 20g 이상을 섭취하는 여성과 30g 이상을 섭취하는 남성으로 정의되었다. 이는 소주(17도 기준) 약 0.42병(360㎖), 맥주 500㎖, 와인 200㎖에 해당하는 양이다. 남성의 경우 소주 0.62병, 맥주 750㎖, 와인 300㎖ 정도를 마시는 것이 이에 해당한다.

데이터 분석 결과, 당뇨병을 앓고 있거나 복부 비만이 있는 사람이 과음할 경우 간 질환에 걸릴 위험이 2.4배 높았으며, 고혈압이 있는 경우에는 위험도가 1.8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기저질환으로 인해 이미 간에 지방이 쌓여 있는 상태에서 음주를 지속하면 지방이 더욱 축적되면서 간 섬유화가 가속화된다고 설명했다.

술 / Maksym Fesenko-shutterstock.com
술 / Maksym Fesenko-shutterstock.com

알코올은 체내에서 분해되는 과정에서 독성 물질인 아세트알데하이드를 생성하는데, 이는 간뿐만 아니라 췌장, 뇌 등 알코올 대사에 관여하는 신체 기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더 나아가 DNA를 손상시켜 암을 유발할 수 있는 위험 요소로 작용한다. 따라서 같은 양의 술을 마시더라도 개인의 건강 상태에 따라 간 질환 발병 위험이 크게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개인별 건강 상태를 고려한 음주 습관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단순히 음주량을 기준으로 건강 리스크를 판단하기보다는, 본인의 기저질환 유무와 가족력을 면밀히 살피고 음주량을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다.

home 위키헬스 기자 wikihealth75@wikitree.co.kr

NewsC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