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년기 건강 위한 근력 운동…남녀가 해야 하는 운동이 다르다고?

2025-02-12 14:40

add remove print link

"근감소증이 발병하기 전에 미리 근육 적금을 만들어야 한다"

노년기 남성은 체지방을 줄이고 근육량을 늘려야 하며, 여성은 체지방과 근육량을 모두 증가시켜야 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이미지. / Eastfenceimage-shutterstock.com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이미지. / Eastfenceimage-shutterstock.com

지난달 17일 삼성서울병원 건강의학본부 박준희 교수와 경희대병원 가정의학과 원장원 교수 연구팀은 유럽 폐경·남성 갱년기 학회 공식 학술지 'Maturitas'를 통해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팀은 한국노인노쇠코호트 데이터를 통해 70~84세 노인의 근육량 변화가 심혈관·대사질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연구는 1634명의 노인 중 근감소증이 있는 353명을 선별하고, 이들과 나이와 성별이 같은 근감소증이 없는 353명을 짝지어 2년간 체성분 변화를 비교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근감소증은 팔다리 근육량, 악력, 보행속도 등 신체 기능을 평가해 진단했다.

그 결과, 근감소증이 없는 남성 노인의 경우, 근육량을 늘리는 것이 심혈관 및 대사질환 예방에 효과적이었다. 팔다리 근육량이 1kg 증가할 때마다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이 41% 줄었고, 고지혈증 위험도 28% 감소했다. 반면 허리둘레가 1cm 늘어나면 고혈압 위험이 32% 증가했다.

여성의 경우, 근감소증이 없는 상태에서 근육량 증가가 심혈관질환 예방에 효과가 없었다. 대신 체중이 1kg 증가하면 고지혈증 위험이 21% 감소했다. 이는 체중 증가가 심혈관대사질환 발생 위험을 줄이는 데 기여했음을 시사한다.

근감소증이 있는 노인의 경우는 남녀 모두 근육량을 늘려도 심혈관 및 대사질환 예방에 충분하지 않았다.

특히 근감소증이 있는 여성은 근육량만 늘릴 경우 고지혈증 위험이 3배 증가했다. 이는 근육량 증가와 함께 근육 내 지방 함량도 증가했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연구팀은 "근감소증이 발병하기 전에 미리 근육 적금을 만들어야 한다"며 "남성은 근육량을 키우는 것만으로도, 여성은 근육량만 늘리기보다는 유산소 운동 등을 병행하며 근육 내 지방축적을 막아 근육의 질을 개선하는 것이 심혈관·대사질환 예방에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home 윤장연 기자 yun1245@wikitree.co.kr

NewsC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