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금님도 먹던 건데…전 세계서 한국인만 즐기는 '뜻밖의 음식'
2025-02-11 20:55
add remove print link
한국인들에게는 친숙하지만, 외국인들에게는 생소한 음식
'세계에서 유일하게 한국에서만 먹는 음식'으로 선정된 도토리묵
대한민국에는 세계 어디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독특한 음식이 있다. 바로 도토리묵이다. 농림축산부가 '세계에서 유일하게 한국에서만 먹는 음식'으로 선정한 도토리묵은 한국인들에게는 친숙하지만, 외국인들에게는 생소한 음식이다.
![반죽 중인 도토리묵 / JTBC '한국인의 식판'](https://cdnweb01.wikitree.co.kr/webdata/editor/202502/11/img_20250211205156_f0beabe6.webp)
도토리묵의 역사는 임진왜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선조가 피란길에 오른 당시, 현지 주민들이 '토리나무'(상수리나무)의 열매로 만든 묵을 대접했다. 굶주린 상황에서 맛본 도토리묵의 맛은 선조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고, 이후 궁으로 돌아와서도 수라상에 자주 오르는 귀한 음식이 됐다. 이때부터 '토리나무'가 '상수리나무'로 불리게 됐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아시아에는 묵을 만들어 먹는 나라들이 여럿 있지만, 도토리로 묵을 만들어 먹는 곳은 한국이 유일하다. 특히 산이 많고 떡갈나무가 풍부한 한국의 지형적 특성이 도토리묵 문화 발전의 바탕이 됐다. 가을철이면 풍부하게 채취할 수 있는 도토리는 중요한 식재료로 활용됐다.
![외국에서는 식재료로 생각하지 않는다는 도토리 / JTBC '한국인의 식판'](https://cdnweb01.wikitree.co.kr/webdata/editor/202502/11/img_20250211204105_59b9df96.webp)
지난 2023년 방영된 JTBC '한국인의 식판'에서는 이연복 셰프가 이탈리아 요리학교에서 도토리묵 요리를 선보여 화제가 됐다. 이탈리아 방송인 알베르토는 "이탈리아 사람들은 도토리를 그냥 '다람쥐 밥'이라고 생각한다. 도토리를 식재료로 생각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처음에는 "도토리로 이걸 만들었다고?", "세상에"라며 생소해하던 학생들도 직접 맛을 본 뒤에는 "맛있다", "식감이 신기하다", "아주 맛있다. 흥미롭다", "정말 특별한 음식"이라며 엄지를 치켜세웠다.
도토리묵의 영양학적 가치도 주목받고 있다. 미국 매체 'USA 투데이'에 따르면, 도토리는 심장, 뼈, 근육 건강은 물론 에너지, 신진대사, 뇌 기능을 지원하는 데 도움이 되는 비타민, 영양소, 미네랄이 풍부하다. 영양사 트리스타 베스트는 "도토리는 에너지를 천천히 방출해 혈당 조절과 지속적인 에너지를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설명했다.
국립농업과학원에 따르면 도토리에는 치매 예방 효과가 있는 생리활성물질도 많이 들어있다. 특히 도토리묵은 100g 기준 약 46kcal로 칼로리가 낮고 식이섬유가 풍부해 다이어트 식품으로도 인기다. 도토리의 타닌 성분은 활성산소를 제거하고 위 점막을 보호하며, 지방 흡수를 억제하는 효과도 있다. 항산화 물질인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도 풍부해 노화 방지와 성인병 예방에도 도움이 된다.
![별미로 꼽히는 도토리묵 무침 / Busan Oppa-Shutterstock.com](https://cdnweb01.wikitree.co.kr/webdata/editor/202502/11/img_20250211204420_bd7656f2.webp)
조선 시대 의학서적인 동의보감에는 불규칙적인 배변, 복부 팽만감, 잦은 소변, 부종이 있는 사람에게 도토리묵이 좋다고 기록돼 있다. 다만 변비가 있는 사람은 도토리의 타닌이 수분을 흡수해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며, 감과 함께 섭취하는 것도 피하는 것이 좋다.
도토리는 묵 외에도 죽, 빵, 쿠키, 스무디 등 다양한 요리에 활용할 수 있다. 독성을 제거한 도토리 가루를 우유나 요구르트와 함께 갈아 만든 스무디는 건강에 좋은 새로운 메뉴로 주목받고 있다. 임금님의 수라상에서 서민들의 구황식품까지, 도토리묵은 한국의 역사와 문화를 고스란히 담고 있는 독특한 음식문화의 상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