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팝→K콘텐츠→'?'… 외신이 새로운 한류로 지목한 아주 뜻밖의 '분야'

2025-02-10 15:49

add remove print link

블룸버그 오리지널 공식 유튜브 채널에 올라와 눈길 끈 내용

K-팝과 K-드라마, K-무비가 전 세계를 사로잡으며 한국 문화 영향력이 날로 커지는 가운데, 이제 차세대 한류의 주역으로 떠오르고 있다는 분야가 있다.

2022년 10월 5일 서울 중구 서울도시건축전시관 옥상 공간 서울마루에 설치된 작품 '서울 대청'에서 시민들이 여유로운 시간을 보내고 있다. 우리 전통 건축 양식인 대청을 재해석한 '서울 대청'은 '서울마루 공공개입 2022'의 선정작으로 서울마루 상부에 깔린 126면의 평상과 금속 장식이 어우러져 전통과 현대를 넘나드는 공간적 경험을 제안한다. / 뉴스1
2022년 10월 5일 서울 중구 서울도시건축전시관 옥상 공간 서울마루에 설치된 작품 '서울 대청'에서 시민들이 여유로운 시간을 보내고 있다. 우리 전통 건축 양식인 대청을 재해석한 '서울 대청'은 '서울마루 공공개입 2022'의 선정작으로 서울마루 상부에 깔린 126면의 평상과 금속 장식이 어우러져 전통과 현대를 넘나드는 공간적 경험을 제안한다. / 뉴스1

바로 '한국 건축'이다. 최근 한국 건축이 해외에서 주목받으며 새로운 문화 콘텐츠로 부상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지난해 10월 블룸버그 오리지널 공식 유튜브 채널에는 '왜 한국의 건축이 다음 한류 열풍이 될 수 있을까'라는 제목의 영상이 올라와 화제를 모았다. 영상은 K-팝과 K-콘텐츠가 전 세계를 강타한 가운데, 한국 건축이 차세대 한류로 자리 잡을 가능성을 조명했다.

실제로 한국의 창작 산업은 2021년 기준 124억 달러(약 17조 원)의 수출 수익을 기록하며 세계 6위의 문화적 영향력을 가진 국가로 평가됐다. 2030년까지 한류 관련 글로벌 소비 규모가 143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는 상황에서, 한국 건축이 차세대 한류를 주도할 새로운 산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서울은 세계적인 디자이너와 창작자들로부터 '2024년 최고의 도시'로 선정될 만큼 건축과 디자인 측면에서도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한국 건축은 과거 유교적 가치관과 일본 식민지 시대의 영향을 받았으나, 1950년대 이후 경제 발전과 함께 독자적인 건축 스타일을 구축하며 새로운 정체성을 찾기 시작했다.

한옥 자료사진. / 뉴스1
한옥 자료사진. / 뉴스1

특히 현대 건축가들은 전통을 단순한 과거의 유산이 아닌 '자원'으로 활용하며 공간을 재해석하고 있다. 블룸버그와 인터뷰에서 건축가 양테오는 "전통적인 공간의 기억과 서사를 현대적으로 풀어내는 것이 중요하다"라고 강조했다. 그는 블루보틀 커피 매장을 설계할 때 1900년대 초 전통 가옥이 전기와 유리 창문을 받아들이던 시대적 변화를 연구해 현대적 요소 속에서도 전통의 감성을 살려낸 것으로 전해졌다.

한국 전통 건축의 핵심은 자연과의 조화다. 한옥은 '마당'을 중심으로 설계되며, 햇빛과 바람이 자연스럽게 흐르는 구조를 갖추고 있다. '검이불루 화이불치(儉而不陋 華而不侈)'라는 한국 건축 철학도 주목받고 있다. 이는 '소박하지만 누추하지 않고, 화려하지만 사치스럽지 않다'는 의미로, 절제된 아름다움과 균형 잡힌 디자인을 강조한다. 이러한 원칙은 현대 한국 건축에서도 유지되고 있다.

많은 건물들이 유려한 곡선과 미니멀한 디자인을 갖추고 있으며, 장식적인 요소를 줄이고 나무, 돌, 유리 같은 자연 소재를 적극 활용하고 있다. 한국 건축가들은 건축을 단순한 공간 설계가 아니라 사회와 문화의 반영으로 본다. '건축은 사람들의 삶과 이야기, 그리고 땅이 담고 있는 꿈을 표현하는 것'이라는 철학 아래, 공간의 자유로움과 유연성을 강조한다.

건축가 조민석. / 뉴스1
건축가 조민석. / 뉴스1

건축가 조민석은 런던의 '서펜타인 파빌리온(Serpentine Pavilion) 2024'의 설계자로 선정되며 한국 건축을 세계에 알리고 있다. 그는'마당' 개념을 중심으로 설계를 진행하며, 한국 건축이 가진 열린 공간의 철학을 글로벌 무대에서 재해석하고 있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서울은 유럽 도시처럼 평탄한 지형 위에 계획적으로 설계된 것이 아니라, 산악 지형과 자연환경에 맞춰 발전한 독특한 도시다. 이러한 지형적 특성과 역사적 변화 속에서 한국의 건축은 끊임없이 진화하고 있으며, 전통과 현대의 조화를 통해 새로운 글로벌 트렌드를 선도하는 단계에 접어들고 있다.

한국 건축은 전통을 재해석하고 현대적으로 재창조하는 과정에서 세계적인 주목을 받고 있다. K-팝과 K-콘텐츠를 이을 차세대 한류 주역으로서, 한국 건축이 다음 글로벌 트렌드가 될 가능성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유튜브, Bloomberg Originals
home 권미정 기자 undecided@wikitree.co.kr

NewsC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