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래종인데... 한국에서 특이하게도 '최고급 수산물'로 취급받는 식재료

2025-02-18 15:51

add remove print link

금어기까지 설정해 적극 육성 중이라는 외래종 수산물

부산 청게 요리 / '입질의추억 TV' 유튜브 영상 캡처
부산 청게 요리 / '입질의추억 TV' 유튜브 영상 캡처

부산의 바다와 강이 만나는 지점, 낙동강 하구에서 살고 있는 특별한 수산물이 있다. 부산 청게. 푸르스름한 색조와 독특한 외형으로 시선을 사로잡으며 맛 또한 일품이다. 부산시가 전략적으로 산업화하려는 수산물이기도 하다. 부산 청게는 특이하게도 외래종이다. 외래종이 어떻게 지자체가 적극 육성 중인 고급 수산물로 발전했는지 알아보자.

부산 청게의 학명은 '톱날꽃게'다. 주로 부산 낙동강 하구와 그 인근 지역에서 서식하는 외래종으로 알려져 있다.

부산 청게는 갑각 너비가 15~18cm다. 좌우가 넓은 부채꼴 형태를 하고 있다. 등딱지의 가장자리는 톱니 모양으로 돼 있으며, 중앙에는 선명한 H자 홈이 있다. 이마에는 가시가 4개 달려 특징적인 외형을 자랑한다. 집게다리가 크고 잘 발달돼 있다. 무는 힘이 강력해 사람 손가락도 쉽게 절단할 수 있다. 과거 낙동강 하구 지역에서는 '똥게'라는 별명으로 불렸다. 주로 진흙 바닥에 서식해 이런 이름이 붙었다.

부산 청게 / 연합뉴스
부산 청게 / 연합뉴스

부산 청게는 1960, 1970년대 동남아에서의 목재 수입 과정에서 유입된 것으로 추측된다. 당시 평형수를 통해 이 게가 함께 들어왔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그러나 일제강점기에도 거제도에서 잡힌 기록이 있기에 그 이전부터 한국에 서식했을 가능성도 존재한다. 부산 청게는 배스나 블루길과 같은 양식 목적으로 가져온 외래종들과는 달리 자연적으로 해류를 따라 이동했을 가능성이 크다는 말이 있다.

부산 청게는 맛이 독특하다. 육질의 밀도가 높아 탄탄하면서도 부드러운 식감이 일품이다. 다른 게와 달리 처음엔 고소하거나 달콤한 맛이 강하지 않지만 담백하고 풍미가 깊다. 특히 꽃게의 단맛과 감칠맛, 왕게의 고소함이 어우러진 맛을 자랑한다. 이러한 맛 덕분에 가을철 별미로 인기를 끌더니 현재는 1kg에 약 4만~5만 원에 거래된다. 최근엔 서울지역 유명 호텔이 제철인 가을에 특별 메뉴로 선보이고 있다. 서울 유명 호텔에 잡히는 족족 팔리는 까닭에 부산에서는 오히려 맛보기 힘들다는 말도 있다.

부산 청게는 주로 낙동강 하구와 그 주변 지역에서 어획된다. 특히 명지, 녹산, 가덕도 등지에서 많이 잡힌다. 이들 지역은 청게 서식지로 적합한 기수 지역, 즉 바닷물과 강물이 만나는 지역이다. 9, 10월에 산란을 위해 하구로 올라오는 게를 잡는다.

부산 청게는 다양한 요리법으로 소비된다. 대표적인 요리로는 청게찜과 청게된장국이 있다. 청게찜은 청게를 통째로 쪄내어 먹는 방식이다. 부드럽고 풍부한 맛을 자랑한다. 청게된장국은 구수한 된장과 함께 끓여 깊은 풍미를 느낄 수 있는 요리다. 이 두 가지 요리는 부산 지역의 식도락가들 사이에서 인기 있는 메뉴로 자리 잡고 있다.

부산시는 청게의 개체 수를 늘려 지역 특산물로 육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부산시 수산자원연구소가 2010년 전국 최초로 톱날꽃게 인공종자 대량생산에 성공해 매년 어린 톱날꽃게를 방류하고 있다.

부산시는 2014년부터 포획 금지 체장과 금어기를 설정하고 부화장을 운영해 치게를 방류하는 등 다양한 조치를 취하고 있다. 금어기는 매년 10월 25일부터 이듬해 3월 말까지다. 이 기간엔 청게의 어획이 금지된다. 청게의 개체 수를 보호하고 지속 가능한 어업을 위한 기초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부산 청게가 외래종임에도 거부감 없이 받아들여지는 이유는 생태계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이다. 최근에는 청게가 제주도에도 유입된 사실이 확인됐다. 제주시 구좌읍의 한 해안가에서 그동안 이 일대에서 본 적이 없는 톱날꽃게가 2023년 처음으로 발견됐다.

제주도에서 처음으로 발견된 톱날꽃게. 외래종 갑각류다. / JIBS 뉴스 영상 캡처
'9월 한달만 맛볼수 있는 한정판 별미, 톱날꽃게를 아시나요?'란 제목으로 ' 입질의추억TV' 유튜브 채널에 올라온 영상.

유튜브 채널 TV생물도감이 톱날꽃게를 소개하고 있다.
home 채석원 기자 jdtimes@wikitree.co.kr

NewsC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