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핵해야" "기각해야" 격차 한 달 만에 확 줄어든 세 가지 이유

2025-02-07 15:46

add remove print link

①보수층 결집 ②민주당과 이재명 대표에 대한 반감 ③헌재에 대한 불신

윤석열 대통령이 6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대심판정에서 열린 탄핵심판 6차 변론기일에 출석해 있다. / 뉴스1
윤석열 대통령이 6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대심판정에서 열린 탄핵심판 6차 변론기일에 출석해 있다. / 뉴스1
여론조사에서 헌법재판소가 윤석열 대통령 탄핵안을 인용해야 한다는 응답과 기각해야 한다는 응답의 격차가 갈수록 좁혀지고 있다. 보수층의 결집, 더불어민주당과 이재명 민주당 대표에 대한 반감, 헌재에 대한 불신 등이 영향을 미쳤다는 말이 나온다.

미디어리서치는 지난 5, 6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1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헌법재판소가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에 대해 어떤 결론을 내려야 한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응답자의 51.9%가 '인용해야 한다', 44.8%가 '기각해야 한다'고 답했다고 7일 발표했다. 두 의견의 격차는 7.1%포인트(p)였다. '잘 모름'은 3.3%였다.

성별로 보면, 남성 응답자에선 인용해야 한다는 의견이 50.1%, 기각해야 한다는 의견이 47.7%, 잘 모른다는 응답이 2.2%였다. 여성 응답자에선 인용해야 한다는 의견이 53.6%, 기각해야 한다는 의견이 42.0%, 잘 모른다는 응답이 4.3%였다.

정당 지지율에 따라 보면, 더불어민주당 지지층에선 90.5%, 조국혁신당 지지층에선 93.0%, 개혁신당 지지층에선 84.7%, 진보당 지지층에선 86.5%가 탄핵 인용을 지지했다. 반면 국민의힘 지지층에선 87.6%가 탄핵 기각을 주장했고, 7.9%는 인용을 지지했다.

이번 조사는 무선 RDD(무작위 전화 걸기) 방식으로 ARS를 통해 진행됐다. 응답률은 8.1%,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포인트(p)다.

이에 앞서 엠브레인퍼블릭·케이스탯리서치·코리아리서치·한국리서치가 지난 3~5일 만 18세 이상 남녀 1005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전국지표조사(표본 오차: 95% 신뢰수준에서 ±3.1%p)에서 탄핵소추를 인용해야 한다는 응답은 55%, 기각해야 한다는 응답은 40%였다.

이보다 앞서 에이스리서치가 뉴시스 의뢰로 지난 1, 2일 만 18세 이상 성인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조사(표본오차: 95% 신뢰수준에 ±3.1%p)에서는 인용돼야 한다는 응답은 51.4%, 기각돼야 한다는 응답은 46.9%로 나타났다.

윤 대통령 탄핵안을 인용해야 한다는 응답과 기각해야 한다는 응답의 격차는 갈수록 좁혀지고 있다.

에이스리서치가 역시 뉴시스 의뢰로 지난해 12월 29, 30일 전국 만 18세 이상 성인 남녀 101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서는 61.2%가 인용돼야 한다고 답했고, 37.0%가 기각돼야 한다고 답했다. 인용해야 한다는 여론이 줄어든 데 반해 기각해야 한다는 여론은 상승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윤 대통령 구속 이후 보수 지지층이 결집하는 추세가 뚜렷하다. 보수층의 지지율 상승이 탄핵 반대 여론을 강화하고 있다. 일각에선 보수층이 탄핵 인용 여부를 대통령 선거처럼 여기고 있다는 말도 나온다.

민주당과 이재명 민주당 대표에 대한 반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한덕수 전 대통령 권한대행 탄핵 강행, 탄핵 사유에서 내란죄 삭제, 카카오톡 검열 논란이 민주당에 악재로 작용해 탄핵안 기각 여론을 자극했을 가능성이 있다.

헌재에 대한 일부 국민의 불신 여론도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 실제로 문형배 헌법재판관이 이재명 민주당 대표와 친분이 있는 게 아니냐는 의혹, 이미선 재판관 친동생인 이상희 변호사가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 윤석열 퇴진 특위’의 부위원장을 맡고 있다는 주장 등이 나오면서 헌재에 대한 불신 여론이 커졌다는 말이 나온다.

한편, 글에서 언급한 각 여론조사의 자세한 조사 개요와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home 채석원 기자 jdtimes@wikitree.co.kr

NewsC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