뼈·면역 건강에 중요한 역할 하는 영양소…'이런 사람'이 먹으면 오히려 독이다?

2025-02-06 14:03

add remove print link

비타민D 수치가 높을수록 사망 위험이 15% 증가

담도암 여성환자가 고용량 비타민D 주사를 맞으면 오히려 생존율을 감소시킨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이미지. / Kmpzzz-shutterstock.com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이미지. / Kmpzzz-shutterstock.com

6일 서울아산병원 유창훈 교수팀의 연구에 따르면, 여성 담도암 환자의 혈중 비타민D 수치가 높을수록 생존율이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비타민D는 우리 몸의 여러 기능에 필수적인 영양소로, 특히 뼈 건강과 면역 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의 자료에 따르면, 혈중 비타민D 농도가 충분하면 사망 위험이 크게 줄어든다.

그러나 질환에 따라 비타민D가 오히려 해로울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또한, 비타민D는 지용성 비타민이기 때문에 체외배출이 잘 되지 않아 과다복용 시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복용 시에는 800~2000IU의 적정 용량만 복용하는 것이 안전하다.

연구팀은 2차 항암화학요법을 받은 진행성 담도암 환자 173명의 혈중 비타민D 수치와 생존율을 분석했다.

그 결과, 여성 환자군에서 비타민D 수치가 높을수록 사망 위험이 15% 증가했다. 남성 환자군에서는 의미 있는 상관관계가 확인되지 않았다.

하지만 체질량지수가 18.5 미만인 환자군에서는 비타민D 수치가 높을수록 사망 위험이 51% 감소했다.

비타민D가 대장암이나 유방암 예방에 효과적이라는 기존 연구와 달리, 담도암에서는 다른 생물학적 특성이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연구팀은 에스트로겐 등 여성호르몬과 비타민D의 상호작용이 여성 담도암 환자 예후에 부정적으로 작용했을 가능성을 제기했다.

유창훈 교수는 "이번 연구는 혈중 비타민D 수치가 담도암 환자의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성별 및 BMI와 같은 환자 특성에 따라 분석한 첫 사례"라며 "향후 추가 연구를 통해 비타민D가 담도암에서 어떤 생물학적 역할을 하는지 밝히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home 윤장연 기자 yun1245@wikitree.co.kr

NewsC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