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벌써 세번째 수면 마취…" 건강 적신호 켜진 박성광
2025-02-06 10:36
add remove print link
연예인도 겪는 반복되는 건강 위기, 과연 무엇 때문일까?
수면마취의 숨겨진 위험성, 당신이 알아야 할 점
코미디언 겸 영화감독 박성광이 건강에 적신호가 켜졌음을 알렸다.
개그맨 박성광이 건강 문제를 호소했다.
지난 5일 박성광은 자신의 인스타그램 스토리에 사진을 게재했다. 놀랍게도 팔에 주사 바늘을 꼽고 있는 모습이었다.
박성광은 "올해만 벌써 세 번째 수면 마취. 딱 오늘까지만 아프자. 약속"이라는 말을 남겼다.
그러면서도 무슨 일인지, 어떤 질환 때문에 아픈지는 밝히지 않았다.
![박성광 / 뉴스1](https://cdnweb01.wikitree.co.kr/webdata/editor/202502/06/img_20250206103431_81d778be.webp)
◆꼭 필요하지만 부작용 나타날 수 있는 수면마취
일반적으로 전신마취는 신경근차단제를 통해 환자의 움직임과 반사를 차단하는데 이때 환자는 자가호흡을 할 수 없어 인공환기장치를 통해 호흡을 유지하게 된다.
하지만 수면마취의 경우 신경근차단제를 투여하지 않기 때문에 수술 중 자가호흡을 유지할 수 있어 적정한 용량의 진정제와 진통제를 사용한다. 이때 약제를 과량 투여할 경우 기도폐쇄, 호흡곤란, 저산소증 같은 호흡기계 합병증과 빈맥, 저혈압 등 심혈관계 합병증이 나타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보통 전신마취는 위험하지만 수면마취는 비교적 위험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잘못된 생각이다.
![박성광 인스타그램 스토리](https://cdnweb01.wikitree.co.kr/webdata/editor/202502/06/img_20250206103547_3ae747d5.webp)
전문가들에 따르면 수면마취도 전신마취에 준하는 감시 아래 진행돼야 한다.
또한 수면마취 의료사고가 종종 발생하는 걸 감안하면 보호자와 함께 가는 게 좋고 사고가 생겼을 땐 즉시 진료기록과 CCTV 영상을 확보해야 한다.
수면마취 시 투여하는 진정제, 진통제 등을 짧은 시간 내에 반복투여하면 누적효과로 호흡억제 등 합병증 유발원인이 될 수 있다.
특히 간기능이나 신장기능이 저하된 환자, 심한 코골이 또는 수면무호흡환자, 특히 심장질환 및 폐질환이 있는 환자에게는 매우 조심해 투여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