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려 절반이나…" 2030 한국 남성 건강에 '빨간불'

2025-02-02 22:03

add remove print link

20대 30대 남성, 건강 위기의 적신호
비만과 만성질환, 젊은 세대의 숨겨진 위험

우리나라 20대에서 30대 남성의 절반이 비만 상태에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이들 중 약 30%는 당뇨 전 단계나 고혈압 전 단계에 해당하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대한가정의학회지에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국민건강영양조사(2019∼2021년) 자료를 기반으로 19세에서 39세 사이의 젊은 성인 3609명을 대상으로 비만율과 관련 대사질환의 유병률을 분석했다.

조사 결과, 남성 1646명 중 체질량지수(BMI) 25 이상인 비만 유병률은 45.4%에 이르고 있다. 당뇨 전 단계는 29.2%, 고혈압 전 단계는 31.1%로 나타났다. 여성 1963명에서는 비만 유병률이 20.5%, 당뇨 전 단계 17.7%, 고혈압 전 단계 12.5%로 조사됐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사진 / 뉴스1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사진 / 뉴스1

남성의 경우, 비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기혼 상태, 낮은 소득 수준, 과거 흡연력, 음주 등이 지목되고 있다. 여성의 경우, 무직 등 노동 상태가 주요 위험 요인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젊은 성인에서 비만과 당뇨, 고혈압 전 단계의 유병률이 높음을 지적하며, 사회경제적 지위, 스트레스, 생활 습관과 관련된 비만 요인을 고려한 맞춤형 예방과 관리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한편 새해 다짐으로 흔히 꼽히는 게 금연이지만, 흡연율이 다시 증가하고 있다.

2023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따르면, 남성 흡연율은 32.4%로 전년 대비 2.4% 포인트 증가했다. 여성 흡연율도 6.3%로 1.3% 포인트 상승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사진 / 뉴스1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사진 / 뉴스1

전자담배 사용률은 23.9%로 1.8% 포인트 증가했다. 전자담배를 쓰는 인구가 그만큼 늘어났기 때문이다.

금연을 결심하는 경우는 줄어들고 있다. 조사 결과 향후 1개월 내 금연을 계획하는 사람은 13.1% 뿐이다.

2014년 24.7%였던 것에 비하면 크게 줄어든 수치다. 특히 담배를 끊어야 할 젊은 층이 오히려 금연에 대한 생각이 적다.

home 위키헬스 기자 wikihealth75@wikitree.co.kr

NewsC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