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셜 챗봇, 외로움과 사회불안 완화해준다”…국내 연구팀이 밝힌 놀라운 효과

2025-01-20 15:08

add remove print link

“챗봇이 안전하게 사용된다면, 정신 건강 문제 예방에 기여할 수 있다”

대화형 인공지능인 소셜 챗봇이 외로움과 사회불안을 완화하는 데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이미지. / DenPhotos-shutterstock.com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이미지. / DenPhotos-shutterstock.com

지난 14일 정두영 울산과학기술원(UNIST) 의과학대학원 교수와 조철현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가 이끄는 공동 연구팀은 첨단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 최상위 국제학술지 '저널 오브 메디컬 인터넷 리서치'를 통해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는 소셜 챗봇 이루다 2.0을 활용해 진행됐다. 연구팀은 총 176명의 참여자를 모집해 4주 동안 주 3회 이상 챗봇과 대화하게 했다. 이후 외로움과 사회불안 수준을 표준화된 설문도구로 측정했다.

연구 결과, 챗봇과의 상호작용은 외로움 점수를 평균 15% 줄이고, 사회불안 점수를 평균 18% 완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신의 감정과 경험을 챗봇에게 더 많이 공유하거나 회복탄력성이 높은 사용자에게서 효과가 더 두드러졌다.

또한 대면 상호작용에 어려움을 겪는 사용자에게도 챗봇의 정서 관리 효과가 큰 것으로 분석됐다.

제1 저자인 김명성 UNIST 의과학대학원 박사과정 학생은 "소셜 챗봇이 외로움과 불안감을 해소하는 데 효과적인 디지털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했다"며 "챗봇이 단순한 기술적 장치를 넘어 정서적 지지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 그리고 대인관계와 관련된 요인들이 이러한 효과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실증적으로 밝혀냈다는 데 이번 연구의 의의가 크다"고 밝혔다.

정 교수는 "챗봇이 안전하게 사용된다면, 정신 건강 문제 예방에 기여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

연구팀은 챗봇의 사용성을 개선하고 개인 맞춤형 서비스를 강화하는 추가 연구를 계획 중이다.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연구재단, 정보통신기획평가원, 한국전파진흥협회의 지원을 받아 이뤄졌다.

home 윤장연 기자 yun1245@wikitree.co.kr

NewsC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