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포 그 자체…어떤 항생제에도 굴하지 않는 '슈퍼 세균' 확산 중
2025-01-16 17:33
add remove print link
비뇨의학과 의사가 국회에서 발표
어떤 항생제도 안 먹힌다는 '슈퍼 세균'이 퍼지고 있다.
16일 배성락 의정부성모병원 비뇨의학과 교수는 국회에서 열린 '항생제 다제내성균 요로감염의 효과적 통합 대응 체계 구축을 위한 정책 토론회'에서 이 같은 사실을 공개했다. 슈퍼박테리아로 불리는 세균은 카바페넴 계열의 항생제가 잘 듣지 않는 장내세균(CRE)을 말한다. 의료기관이 CRE 감염증 환자가 발생했다고 신고한 건수가 2017년 5717건에서 매년 증가해 2023년 3만8405건으로 늘었다. 5년 새 5.3배로 늘었다. 지난해 1~6월 2만5533건 신고돼 더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다.
사망자는 5년 새 37명에서 633명으로 17.1배가 됐다. 지난해 1~6월 439명이 사망했다.카바페넴 계열의 항생제는 지금 쓸 수 있는 마지막 항생제로 통한다. 이 약을 썼는데도 듣지 않으면 쓸 약이 별로 없다는 뜻이다.이런 일이 벌어지는 가장 큰 이유는 항생제의 무분별한 사용과 오용 때문이다. 배 교수는 "항생제 사용량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에서 8위를 차지한다"고 우려했다.
요로감염·신우신염 등에 걸린 환자에게 항생제를 무분별하게 사용하는 게 문제이고, 이들 질환은 소득이 낮을수록 발병률이 높다고 한다.항생제 내성균이 혈액에 침범해 전신 감염 증상을 일으키는 병이 패혈증인데, 인구 10만명당 패혈증 사망률이 가장 높은 데는 전북(33.4명)이다. 다음은 전남(28.5명)이다. 임동훈 대한요로생식기감염학회 회장(조선대 비뇨의학과 교수)은 "전북과 전남 지역의 노인 인구 비율이 높은 게 원인일 것으로 추정한다"고 말했다.배 교수는 세계보건기구(WHO)의 경고를 인용했다. 2050년 세계 주요 사망 원인을 예측해 보니 암 사망자가 820만명, 항생제 내성균 사망자는 1000만명으로 나타났다고 한다.
유성현 전남대병원 비뇨의학과 교수는 "현재 다제내성균 감시 체계가 돌아가고 있지만, 전국 대표성이 부족하고 임상 진료 정보와 연계되지 않는 게 문제"라며 "항생제 내성균을 보관하는 '균주 은행'을 전국 10곳에 설립해 특성을 분석하고 유전체를 분석해 백신과 진단 도구 개발 등에 활용해야 한다"고 말했다.지난해 항생제 내성 관리 예산은 18억원이다. 민권식 인제대 부산백병원 비뇨의학과 교수는 "한국 의료가 세계 톱이지만 물밑(잘 보이지 않는 분야를 지칭)에 가려진 후진국 수준인 분야가 더러 있다"면서 "정부가 복지에는 예산을 많이 쓰면서 국민의 기본권인 건강권에는 투자하지 않는다"고 비판했다.임동훈 회장은 "종합병원이나 상급종합병원에는 항생제 내성 감시 체계가 돌아가지만 1차 의료기관은 그렇지 않다. 동네의원 감시체계 구축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