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간송미술관, 2025년 주요계획 발표
2025-01-15 16:01
add remove print link
조선 대표화가 단원 김홍도, 혜원 신윤복, 오원 장승업 작품 한자리에
연간 지속되는 상설전시와 두 개의 기획전시로 간송의 소장품 소개
[대구=위키트리]전병수 기자=대구간송미술관은 15일 기자간담회를 갖고 올해 주요 계획을 발표했다.
이날 미술관측은 간송 전형필 선생의 문화보국 의지와 염원이 담긴 작품들을 가까이에서 만날 수 있는 상설‧기획전 체제로 미술관을 정비하고, 2025년 새로운 도약을 위한 준비를 마쳤다고 밝혔다.
대구간송미술관은 간송이 문화보국 정신으로 수집한 우리 문화유산의 가치와 아름다움을 상시적으로 감상할 수 있도록 오는 16일 첫 상설전시를 연다. 서화와 도자를 중심으로 불상, 전적, 목판 등을 순차적으로 전시할 예정이다.
올해 상설전시는 상설전으로 이례적으로 주요 작품들이 대거 출품되며, 국보 3건 6점을 비롯한 회화(산수화, 풍속화), 서예, 도자 등 대표 소장품 총 39건 52점이 전시된다.
조선시대 회화사를 대표하는 삼원(三園, 단원 김홍도, 혜원 신윤복, 오원 장승업), 삼재(三齋, 겸재 정선, 현재 심사정, 관아재 조영석)의 작품과 조선 왕실의 글씨, 고려와 조선의 도자 등을 모두 한곳에서 감상할 수 있다. 작품의 관리를 위해 연 3차례 작품을 교체할 예정이며, 이번 전시는 5월까지 계속된다.
◇ 고려와 조선을 대표하는 두 도자
청자상감운학문매병(국보), 백자청화철채동채초충난국문병(국보)은 간송 소장품을 대표하는 작품이자 간송의 문화보국에 대한 의지가 담겨있는 국가의 보물들이다. 두 도자는 간송 전형필 선생의 수집을 위한 헌신적인 노력을 함께 기리기 위해 1938년 간송이 직접 주문하여 제작한 목제 진열장에 진열된다.
◇ 조선 거장들의 산수로 시대의 자취 헤아리다
미술관은 이름만으로도 압도적인 조선 거장들의 산수화 7건 10점을 선보인다. ‘진경산수의 거장’ 겸재 정선의 금강전도, 모든 분야에서 최고의 경지를 보인 단원 김홍도, ‘조선 최후의 거장’ 오원 장승업, 조선후기 회화의 흐름을 주도한 현재 심사정의 작품과 함께, ‘우리나라의 제일가는 손(本國第一手)’으로 불린 이징의 금니산수도가 관람객의 눈을 사로잡는다.
◇ 2025년 대구간송미술관 주요 계획
간송 전형필 선생은 한국 미술사를 아우르는 중요 작품들을 수집했고 미술관은 기획전을 통해 이 작품들을 선보일 계획이다. 첫 번째 기획전은 ‘화조(花鳥)’를 주제로 4월 개최되며 간송이 소장한 주요 작품들을 소개하고 조선의 자연관과 심미의식을 조망하게 된다.
간송 전형필 선생과 전시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사전 전시해설, 전시 연계 교육과 더불어 개관전에서 큰 인기를 얻었던 간송예술강좌도 확대 운영한다.
유아부터 성인까지 전통에 대한 현대적 시각을 더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운영된다. 또 학생-교원 대상 교육프로그램이 신설되어 미래세대에게 간송의 문화유산을 알리고 우리의 아름다움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간송미술관이 오랜 기간 축적해 온 수리복원에 대한 전문성도 지역을 위해 활용할 계획이다. 대구시(문화유산과) 소장자료인 아동문학가 ‘윤복진 기증자료’ 14건에 대한 수리·복원 과정을 지난해에 이어 ‘보이는 수리복원실’을 통해 선보일 예정이다.
지역 내 보존처리가 필요한 지류, 서화 문화유산을 수리하는 ‘공공문화시설 협력·지원사업’, 수리복원에 대한 인지도 제고를 위한 ‘대구시민 수리복원 공모 사업’ 등을 준비하고 있다.
대구간송미술관은 2024년 미술관으로는 최초, 대구시에서 지난 2018년 이후 처음으로 ‘한국관광의 별’에 선정된 바 있다. 지역의 대표 문화자원으로 역할하기 위한 관광 연계 프로그램과 지역 문화예술 기관과의 협력 프로그램이 ‘밤의 미술관’에서 계속된다.
삼성문화재단과 공동 기획으로 겸재 정선 전시도 준비 중이다.
2004년 성북동 간송미술관에서 개최한 '대겸재전' 이후 처음 열리는 겸재 정선전으로 정선의 대표작 약 120여점이 출품되며, 오는 4월 호암미술관 전시 후 26년 하반기 대구간송미술관에서 공개될 예정이다.
전인건 대구간송미술관장은 “대구간송미술관은 상설전시를 통해 간송 전형필 선생이 문화보국의 신념이 깃든 우리 문화유산 고미술을 늘 가까이에서 접하며 우리 문화와 역사에 대한 긍지를 가질 수 있는 공간이 될 것이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