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이 원산지가 아니었다고?… 한국인들 깜짝 놀랄 '국민 식재료'의 진실

2025-01-12 07:50

add remove print link

한국 요리에 빠질 수 없는 식재료

마늘은 한국인들에게 없어서는 안 될 대표적인 식재료 중 하나다. 김치, 각종 찌개, 볶음 요리까지 마늘은 한국 요리 맛을 완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런데 많은 한국인이 마늘의 기원이 한국이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다.

자료사진. 경매 장에 나온 마늘. / 뉴스1
자료사진. 경매 장에 나온 마늘. / 뉴스1

마늘은 이집트가 원산지인 외래 식물이다. 아스파라거스목 수선화과 부추아과 부추 속에 속하는 마늘은 여러해살이 외떡잎식물이다. 이집트 및 중동 지역에서 처음 재배됐으며 이후 전 세계로 퍼져나갔다. 마늘이 한국인 삶에 깊이 자리 잡게 된 배경에는 오랜 세월을 거쳐 이어져 온 재배 기술과 요리 문화가 있지만, 그 기원 자체는 외래에서 시작됐다.

단군신화에서 곰이 사람이 되기 위해 쑥과 마늘을 먹었다는 이야기가 전해지면서 마늘이 한국 전통적인 식재료로 여겨지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이 이야기는 마늘 실제 원산지와는 무관한 설화일 뿐이다. 마늘이 한국에 전래된 정확한 시점은 불명확하지만, 고대부터 다양한 경로를 통해 아시아 지역으로 확산됐을 것으로 추정된다.

마늘은 약 5000년 전부터 인간에 의해 재배되기 시작한 가장 오래된 농작물 중 하나다. 고대 이집트인들은 마늘을 약재로 사용했으며, 피라미드를 건설하던 노동자들에게 마늘을 지급했다는 기록도 있다. 당시 마늘은 건강과 활력을 상징하는 식품으로 여겨졌고, 각종 질병을 치료하는 데에도 사용됐다.

고대 그리스와 로마에서도 마늘은 중요한 약용 식물로 사용됐다. 히포크라테스는 마늘을 혈액 순환과 감염 치료에 유용하다고 기록했으며, 로마 군인들은 전쟁터에서 마늘을 에너지 보충제처럼 먹기도 했다.

진열대 위에 놓인 마늘. 자료사진. / 뉴스1
진열대 위에 놓인 마늘. 자료사진. / 뉴스1

이후 마늘은 비단길을 통해 아시아로 전파됐고, 중국과 인도를 거쳐 한반도로 전래되면서 점차 한국 요리의 필수 재료로 자리 잡았다.

한국 요리에서 마늘은 양념 중심을 이룬다. 김치, 된장찌개, 불고기 등 거의 모든 전통 요리에 마늘이 들어간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마늘은 강렬한 풍미로 음식 감칠맛을 더해줄 뿐만 아니라, 특유의 매운맛과 향으로 잡내를 제거하는 데에도 유용하다.

마늘은 다양한 형태로 사용된다. 생마늘은 김치 양념에 주로 쓰이며, 다진 마늘은 국물 요리와 볶음 요리에 활용된다. 구운 마늘은 부드럽고 단맛이 강해 샐러드나 고기 요리에 곁들여진다. 마늘을 기름에 볶아낸 기름은 요리의 풍미를 극대화하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

특히 한국인들은 마늘의 효능을 중요시해 왔다. 민간요법에서는 마늘이 피로 회복, 면역력 강화, 혈액 순환 개선에 좋다고 알려져 있으며, 이는 현대 과학에서도 일부 확인된 사실이다.

마늘은 알리신이라는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항균, 항바이러스 효과가 뛰어나다. 이는 감염 예방뿐만 아니라 심혈관 건강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 알리신은 혈액 순환을 개선하고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는 데에도 효과적이다. 또한 마늘은 강력한 항산화 작용을 통해 노화를 방지하고 면역 체계를 강화한다.

마늘 자료사진. / 뉴스1
마늘 자료사진. / 뉴스1

한국에서 재배되는 마늘은 크게 난지형 마늘과 한지형 마늘로 나뉜다. 난지형 마늘은 따뜻한 지역에서 잘 자라며, 남부 지방에서 주로 재배된다. 대표적인 품종으로 '남해 마늘'이 있다. 한지형 마늘은 추운 환경에 적응한 품종으로, 중부와 북부 지역에서 재배된다. 대표적으로 '의성 마늘'이 있다.

마늘은 비교적 재배가 까다로운 작물로 알려져 있다. 심는 시기와 수확 시기가 명확해야 하고, 물 빠짐이 좋은 토양에서 재배해야 한다. 마늘 품질을 결정짓는 주요 요인으로는 재배 환경, 품종, 수확 후 관리 등이 있다. 한국 마늘 농가는 이러한 요소들을 철저히 관리하며 고품질의 마늘 생산에 주력하고 있다.

이처럼 마늘은 단순히 음식 맛을 내는 향신료를 넘어 건강과 전통을 상징하는 중요한 재료로 자리 잡았다. 비록 기원은 한국이 아니지만, 오랜 세월을 거쳐 한국인의 식탁에서 없어서는 안 될 필수 식재료로 자리 잡았다.

유튜브, JTBC Voyage
home 권미정 기자 undecided@wikitree.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