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간 방치 시 식도암 위험 '30배'…밤중에 구토 자주 하면 의심해야 하는 질환
2024-12-30 16:12
add remove print link
식도암 5년 생존률은 50% 정도로 낮아
많은 이들이 식후 속이 쓰린 증상이 나타나면 역류성 식도염을 의심하곤 한다. 하지만 약을 복용해도 증상이 호전되지 않고, 밤중에 구토를 하는 경우가 잦다면 희귀 질환인 '식도이완불능증'을 의심해 봐야 한다.
식도이완불능증은 하부 식도괄약근이 충분히 이완되지 않는 질환이다. 식도괄약근은 위에 있는 음식물과 위산의 역류를 막는 역할을 한다.
이 질환은 환자 수가 드물지만 증상은 심각하다. 식도괄약근과 식도 하부에 있는 신경세포에 이상이 생기면 음식물을 위로 전달해 주는 연동 운동이 원활하게 이뤄지지 않는다. 이로 인해 음식물이 식도에서 내려가지 못하고 정체된다.
그 결과, 음식물이 식도 내에 고여 저녁을 먹고 자려고 누우면 사레가 들러 깨고, 폭발적인 구토를 한다. 구토 증상은 특히 밤에 더 잘 나타난다. 흉부에 통증이 생기고, 흉골 뒷부분에 불편한 느낌이 들어 음식물 섭취가 힘들기도 하다.
식사 도중이나 식사 후 몇 시간 이내 덜 소화된 음식을 토하기도 한다. 이런 증상들로 정상적인 음식 섭취가 이뤄지지 않아 체중도 감소한다.
가장 큰 문제는 식도이완불능증을 10년 이상 방치하면 식도암 발생 가능성이 10~30배 높아진다는 것이다. 식도암은 흔하지 않지만 치명적인 암으로, 5년 생존율이 50% 정도로 낮다.
이는 음식물이 식도에 고여 염증을 일으키고, 이로 인해 편평상피세포암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음식물이 저류하면 박테리아가 발효하면서 니트로소아민이라는 발암물질을 만들어낸다. 실제로 식도이완불능증 환자에게서 이형성증이 관찰된다.
식도이완불능증의 원인은 대부분 알 수 없다. 다만, 근육을 움직이는 신경세포가 사라져 식도의 연동 운동 기능이 떨어지면서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임파선암이나 감염성 질환 등 식도 근육에 침범할 수 있는 질환이 생겨도 2차적으로 식도이완불능증이 나타날 수 있다.
식도이완불능증을 확진받아도 사라진 신경세포를 되살릴 수는 없다. 따라서 증상 개선과 합병증 예방에 치료의 주안점을 둔다.
치료는 약물, 보툴리눔 독소(보톡스) 주입, 풍선 확장술, 포엠(POEM)수술 등으로 음식물이 내려갈 수 있게 진행한다. 포엠수술은 경구 내시경 근절개술로 식도 바깥쪽의 두꺼워진 근육을 찢는 수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