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 긴급체포… 비상계엄 수사 본격화
2024-12-08 08:42
add remove print link
휴대전화 압수 후 동부구치소로 이송
‘12·3 비상계엄 사태’와 관련해 내란 혐의 등으로 고발된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이 긴급체포됐다. 이 소식은 8일 연합뉴스를 통해 전해졌다.

검찰 특별계엄 특별수사본부(본부장 박세현 고검장)는 이날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을 긴급체포하고 소지하고 있던 휴대전화를 압수했다"고 밝혔다.
특수본은 이날 오전 1시 30분부터 김 전 장관을 조사한 뒤 긴급체포했으며, 이후 동부구치소로 이송했다.
앞서 ‘12·3 비상계엄 사태’의 핵심 인물로 지목된 김 전 장관은 같은 날 검찰에 자진 출석했다. 사건 발생 닷새 만이다.
검찰 특별계엄 특별수사본부는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이 서울중앙지검에 출석해 현재 조사를 받고 있다"고 발표했다.
형법상 내란과 직권남용 권리행사방해 혐의를 받는 김 전 장관은 오전 1시 30분쯤 서울중앙지검 청사에 도착했다.
검찰은 그를 상대로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및 해제 과정, 국회와 선거관리위원회에 무장 계엄군이 진입한 경위 등을 조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수본은 김 전 장관의 진술 확보가 수사의 핵심이라고 보고 일정 조율 끝에 자진 출석 형식으로 소환한 것으로 보인다.
김 전 장관은 윤 대통령의 충암고 1년 선배로, 이번 비상계엄 선포를 대통령에게 건의하고 사실상 주도한 인물로 지목된다.
검찰은 압수수색으로 확보한 물적 증거를 분석한 뒤 관계자 조사를 진행하는 통상 절차를 따르지 않고, 사건 관련 주요 관계자들의 진술이 엇갈리는 상황을 이유로 김 전 장관을 조기에 소환한 것으로 전해졌다.
특수본은 김 전 장관의 진술을 우선적으로 확보한 뒤 관계자 진술과 물적 증거를 교차 분석해 사건의 전모를 규명할 계획이다.
지난 4일 노동당·녹색당·정의당은 윤 대통령, 김용현 전 장관, 박안수 전 계엄사령관(육군참모총장)을 형법상 내란 혐의 등으로 고발했다.
검찰은 사건을 서울중앙지검 공공수사1부에 배당해 수사에 착수했으며, 6일에는 60여 명 규모의 특수본을 출범시켜 본격적인 수사를 시작했다.
김 전 장관은 대형 로펌 소속 변호인을 선임해 검찰 조사에 응한 것으로 알려졌다.